•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1억4000만원도 반납?"…비트코인, 한 달 만에 13%↓

등록 2025.02.19 09:16:43수정 2025.02.19 11:20:2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비트코인, 간밤 1억4100만원까지 밀려

"거래량·수익률, 美 대선 이전 수준…위험 회피 심리 탓"

스트래티지, 비트코인 추가 매입 계획…2.8조원 조달

[서울=뉴시스] 홍효식 기자 = 관세 전쟁 여파로 비트코인 가격이 10만 달러 밑으로 급락한 가운데 3일 서울 강남구 업비트 고객센터 태블릿에 비트코인 차트가 급락되어 있다. 2025.02.03. yes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홍효식 기자 = 관세 전쟁 여파로 비트코인 가격이 10만 달러 밑으로 급락한 가운데 3일 서울 강남구 업비트 고객센터 태블릿에 비트코인 차트가 급락되어 있다. 2025.02.03.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이지영 기자 = 비트코인이 간밤 1억4100만원대까지 빠지며 한 달 만에 13%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트럼프발(發) 관세 쇼크 이후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지속되면서 거래량과 현물상장지수펀드(ETF) 흐름이 지난해 11월 미국 대선 이전 수준으로 돌아간 영향으로 풀이된다.

비트코인은 현재 하락분을 소폭 만회하며 1억4300만원대를 회복했다.

19일 오전 8시40분 기준 비트코인은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에서 24시간 전보다 0.25% 떨어진 1억4361만원을 기록했다.

같은 시각 업비트에서는 0.48% 하락한 1억4372만원에 거래됐다. 가상자산 시황 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에서는 24시간 전보다 0.46% 빠진 9만5323달러를 나타냈다.

시가총액(시총) 2위 이더리움도 약세를 이어갔다. 같은 시각 이더리움은 빗썸에서 0.79% 떨어진 401만원을, 업비트에서는 2.83% 하락한 401만원을 기록했다. 코인마켓캡에서는 2.74% 빠진 2664달러에 거래됐다.

비트코인의 국내외 가격 차이를 뜻하는 김치프리미엄은 4%대를 이어갔다.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 비교 플랫폼 크라이프라이스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50분 기준 비트코인 김치프리미엄은 4.35%다.

시장은 트럼프 행정부 출범에 따른 불확실성으로 약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비트코인 가격 상승을 견인했던 현물 ETF 자금 유출이 대표적 현상이다.

19일(현지시간) 가상자산 전문매체 유투데이에 따르면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지수(Coinbase Premium Index, CPI)가 미국 증시 개장 후 급격히 하락했다.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지수는 미국 투자자의 수요를 반영하는 지표다. 해당 지수가 마이너스로 전환될 경우 매도 압력이 강해졌음을 시사한다.

투심이 얼어붙으면서 거래량과 수익률 또한 지난해 11월 미국 대선 이전 수준으로 돌아갔다. 비트코인 변동성이 수개월 만에 최저치로 급락한 것이다.

베틀 룬데 K33 리서치 애널리스트는 이날 더블록을 통해 "비트코인 온체인 지표가 약세를 보이고 있다. 거래량과 수익률, 옵션 프리미엄, ETF 흐름 등이 지난해 11월 미국 대선 이전 수준으로 돌아갔다"며 "시장 전반의 위험 회피 심리는 트레이더들이 하방 변동성에 대비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현재는 불확실성이 높은 시기이므로 명확한 방향성이 나타날 때까지 기다릴 것을 권한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미국 단일 기업 중 비트코인을 가장 많이 보유한 스트래티지가 비트코인을 추가 매입하기 위해 20억달러(2조8844억원)를 조달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통상 스트래티지 추가 매입 소식은 수급 효과에 따라 호재로 반영되기도 한다.

스트래티지 측은 18일(현지시간) 공식자료를 통해 "오는 2030년 3월 1일까지 만기인 0% 전환우선채권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 예정"이라며 "시장 상황 및 기타 요인에 따라 이같은 결정을 내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글로벌 가상자산 데이터 조사 업체 얼터너티브(Alternative)에서 집계하는 '공포·탐욕 지수'는 이날 44점을 기록하며 '공포(Fear)' 수준을 나타냈다. 전날(47·중립적인)보다 떨어진 수치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공포를,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각각 의미한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