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여성당뇨병, '이것' 노출 길수록 중증저혈당 위험 낮아"

등록 2023.11.20 10:06:21수정 2023.11.20 11:43:2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당뇨있는 폐경여성 생식수명 길수록 위험 낮아

갱년기 증상 있다면 호르몬 치료로 위험 낮춰야

[서울=뉴시스]제2형(성인) 당뇨병이 있는 폐경 여성에서 생식수명(초경부터 폐경 사이의 기간)이 길수록 중증 저혈당 위험도가 낮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에 노출되는 기간이 제2형 당뇨가 있는 폐경 여성의 중증 저혈당 예방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사진은 강소연 성빈센트병원 산부인과 교수. (사진= 성빈센트병원 제공) 2023.11.20.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제2형(성인) 당뇨병이 있는 폐경 여성에서 생식수명(초경부터 폐경 사이의 기간)이 길수록 중증 저혈당 위험도가 낮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에 노출되는 기간이 제2형 당뇨가 있는 폐경 여성의 중증 저혈당 예방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사진은 강소연 성빈센트병원 산부인과 교수. (사진= 성빈센트병원 제공) 2023.11.20.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백영미 기자 = 제2형(성인) 당뇨병이 있는 폐경 여성에서 생식수명(초경부터 폐경 사이의 기간)이 길수록 중증 저혈당 위험도가 낮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에 노출되는 기간이 제2형 당뇨가 있는 폐경 여성의 중증 저혈당 예방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산부인과 강소연·내분비내과 고승현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 데이터를 활용해 2009년 유방암·자궁경부암 검진과 일반 건강 검진을 동시에 받은 제2형 당뇨가 있는 폐경 여성 18만1263명을 2018년까지 추적 관찰해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20일 밝혔다.

여성이 생식수명 기간 동안 노출되는 에스트로겐은 내인성 호르몬으로, 골다공증과 심혈관계질환 및 다양한 대사 질환의 위험을 낮춰주는 것은 물론 혈당의 항상성 유지에도 관여한다. 제2형 당뇨가 있는 여성이 폐경으로 에스트로겐이 분비되지 않으면 중증 저혈당 발생에 더욱 취약해질 수 있는 이유다.

중증 저혈당은 의식 소실, 낙상, 발작, 교통사고, 혼수상태 및 사망 등 치명적인 위험으로 이어질 수 있어 제2형 당뇨가 있는 경우 중증 저혈당 발생 위험 요소 및 예방전략 수립이 시급하지만 현재까지 이와 관련한 연구가 없었다.

강소연·고승현 교수팀의 연구 결과,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중증 저혈당이 새롭게 발생된 환자군(16.82년)은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초경 평균 연령(16.58년)이 늦었다. 폐경 평균 연령은 49.45년으로 대조군(50.09년)보다 짧았고, 생식수명도 32.63년으로 대조군(33.51년)보다 짧았다.

생식수명에 따른 중증저혈당 발생 위험도 평가에서도 생식수명이 길어질수록 중증 저혈당 위험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식수명이 30년 미만인 환자군과 비교해 생식수명이 30~34년인 환자군은 0.91배, 35~39년은 0.80배, 40년 이상은 0.74배인 것으로 확인됐다. 생식수명과 중증저혈당 위험의 반비례 관계는 특히 65세 미만의 젊은 여성일수록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 호르몬 치료의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호르몬 치료(HT)를 시행한 제2형 당뇨를 가진 폐경 여성은 호르몬 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중증 저혈당 발생 위험도가 낮았다.

강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에 노출되는 기간이 제2형 당뇨가 있는 폐경 여성의 중증 저혈당 발생 예방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제2형 당뇨 여성 중 갱년기 증상을 동반한 폐경 주변기 여성은 호르몬 치료를 통해 갱년기 증상의 호전과 함께 향후 중증 저혈당 위험도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당뇨병학회지 '다이아비티스 앤 메타볼리즘 저널(Diabetes & Metabolism Journal)'에 실렸다. 연구팀은 대한당뇨병학회 연례 국제학술대회 ‘ICDM 2023’에서 연구 성과와 우수성을 인정받아 DMJ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