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전문가 "코로나, 오미크론 이후부턴 확산 저지 불가능

등록 2022.07.28 11:29:05수정 2022.07.28 12:13:4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정재훈 교수 "방역·의료대응에 국가 책임 어느 정도 해"

"자가격리·소외계층 생계지원 등 전향적인 접근있어야"

[부산=뉴시스] 하경민 기자 =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된 28일 부산 연제구보건소 선별진료소를 찾은 시민들이 진단검사 절차를 거치고 있다. 2022.07.28. yulnetphoto@newsis.com

[부산=뉴시스] 하경민 기자 =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된 28일 부산 연제구보건소 선별진료소를 찾은 시민들이 진단검사 절차를 거치고 있다. 2022.07.28.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구무서 기자 = 질병관리청이 마련한 전문가 초청 설명회에서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발생 이후 유행 확산을 저지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정재훈 가천대학교 예방의학과 교수는 28일 오전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에서 열린 설명회에서 "오미크론 대유행 이전까지는 확산을 억제하면서 전체적인 감염자의 규모를 줄이려는 정책을 폈다면 오미크론 이후부터는 확산을 저지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해졌기 때문에 확산을 어느 정도 용인한다라고 하더라도 피해의 크기를 줄이는 방향으로 적용해 왔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 교수는 "이러한 정책적인 방향이라고 하는 것은 항상 연속선상에 있다고 생각하고 이런 연속선상에서 근거에 있어서의 불확실성이라든지 아니면 팬데믹의 어려움 같은 것들이 과학적인 근거를 축적하면서 많이 해소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해 "일률적인 사회적 거리두기라고 하는 것이 가지고 올 수 있는 효과도 있지만 굉장히 큰 사회 ·경제적인 피해가 있는 상황"이라며 "국가의 책임은 일률적인 사회적 거리두기를 강요하는 데만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정 교수는 "의료대응 역량이나 방역대응 역량을 미리 확보하고 국민들에게 전달해 드리는 것이 국가의 책임"이라며 "특히 지금의 재유행에 있어서는 4차 접종에 대한 독려, 경구용 치료제를 최대한 충분하게 확보하는 것들 그리고 병상을 유연하게 운영하는 것들에 대한 준비가 이미 오미크론 대유행이 끝나는 시점부터 어느 정도는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 교수는 "방역과 의료대응 역량에 있어서는 국가의 책임은 어느 정도는 다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도 "한 가지 아쉬운 것들은 자가격리자에 대한 생계지원이라든지 아니면 소외받은 계층에 대해서 생계를 유지할 수 있게, 아프면 쉴 수 있게 하는 그런 것들도 국가의 책임이라는 넓은 관점으로 본다면 전향적인 접근이 있어야 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