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文, 95분간 '日 추가 보복' 대응 점검…靑 "추경, 오늘 꼭 의결돼야"

등록 2019.08.02 16:44:3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국무위원들, 각급 단위 긴밀한 소통과 대책 마련에 공감

"지소미아 등 구체적인 내용은 일일이 언급되지 않았다"

【서울=뉴시스】전신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2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긴급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이날 문 대통령은 "日, 백색국가 배제…대단히 무모한 결정"이라며 깊은 유감을 표했다. 또, "도전에 굴복하면 역사는 또 다시 반복된다"며, "국민의 위대한 힘을 믿고 정부가 앞장서겠다. 도전을 이겨낸 승리의 역사를 국민과 함께 또 한 번 만들겠다"고 밝혔다. 2019.08.02.  photo1006@newsis.com

【서울=뉴시스】전신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2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긴급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이날 문 대통령은 "日, 백색국가 배제…대단히 무모한 결정"이라며 깊은 유감을 표했다. 또, "도전에 굴복하면 역사는 또 다시 반복된다"며, "국민의 위대한 힘을 믿고 정부가 앞장서겠다. 도전을 이겨낸 승리의 역사를 국민과 함께 또 한 번 만들겠다"고 밝혔다. 2019.08.02.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홍지은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은 2일 일본이 각의(閣議·국무회의)를 열어 '화이트리스트'(수출절차 간소화 우대국 명단) 내 한국 배제를 골자로 한 수출무역관리령 개정안 처리를 강행한 것과 관련해 전 부처 장관들과 함께 긴급 국무회의를 열어 대응 계획을 점검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2시 청와대 여민관에서 긴급 국무회의를 열고 오후 3시 35분까지, 95분간 정부 종합 대응 계획에 대해 논의했다고 고민정 대변인은 춘추관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일본의 이 같은 조치에 대해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준비와 실행은 물론, 불확실성으로 국민들이 심리적 경제 위축감을 느끼지 않도록 각급에서의 긴밀한 소통, 협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다.

정부는 당초 이날 국무회의에서 일본의 추가 보복 조치에 맞서 추가경정예산(추경)도 의결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전날까지도 여야가 좀처럼 접점을 찾지 못하면서 국무회의가 열리는 오후 2시까지도 본회의는 열리지 못했다.

고 대변인은 이와 관련해 "오늘 국무회의는 일본의 백색국가 배제에 따른 대응을 위해서 마련된 자리기도 하지만, 해당 산업 분야의 필수 불가결한 재원 투입을 빠른 시간 안에 집행하기 위해서 준비된 자리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회에서 추경안이 통과되면 국무회의에서 바로 의결해 집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다"며 "지금 국회에서 추경안에 대해서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오늘 안에 꼭 추경이 의결되기를 바라겠다"고 했다.

여야는 이날 오후 5조8300억원 규모로 처리하기로 최종 합의했다. 국회에 제출된 지 99일 만인 이날 저녁 본회의에서 처리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뉴시스】전신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2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긴급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이날 문 대통령은 "日, 백색국가 배제…대단히 무모한 결정"이라며 깊은 유감을 표했다. 또, "도전에 굴복하면 역사는 또 다시 반복된다"며, "국민의 위대한 힘을 믿고 정부가 앞장서겠다. 도전을 이겨낸 승리의 역사를 국민과 함께 또 한 번 만들겠다"고 밝혔다. 2019.08.02.  photo1006@newsis.com

【서울=뉴시스】전신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2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긴급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이날 문 대통령은 "日, 백색국가 배제…대단히 무모한 결정"이라며 깊은 유감을 표했다. 또, "도전에 굴복하면 역사는 또 다시 반복된다"며, "국민의 위대한 힘을 믿고 정부가 앞장서겠다. 도전을 이겨낸 승리의 역사를 국민과 함께 또 한 번 만들겠다"고 밝혔다. 2019.08.02.    [email protected]

고 대변인은 이날 처음으로 생중계로 대통령 모두발언을 공개한 배경과 관련해 "일본의 백색국가 배제에 대해서는 온 국민이 관심을 뜨겁게 갖고 있는 부분"이라며 "국민에게 바로 말씀을 전할 수 있는 방법이 생중계가 아닐까 싶어서 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과 관련한 논의도 있었느냐는 질문에 대해선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일일이 언급되지는 않았다"며 부인했다.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관방장관이 이번 조치와 관련, 한일 관계에 영향을 주려는 의도가 없으며 결코 강제징용 배상판결 등을 겨냥한 대항조치가 아니라고 주장한 데 대한 청와대 입장을 묻는 질문에는 "일본은 일본의 입장을 이야기하고 있고 우리 정부는 우리 정부의 입장이 있다"며 "그 간극을 줄이기 위해 외교적 무대에서 함께 논의하고 협의하자고 계속 이야기해온 것"이라고 했다.

한편 북한의 단거리 발사체 발사와 관련해선 이날 국무회의에서 따로 논의된 것이 없다고 전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