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환경부, '느슨한' 아파트 라돈 농도기준 강화 추진

등록 2018.05.21 16:58:3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이영환 기자 = 30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전국 공동주택 공시가격을 보면 서울의 상승률이 10.19%를 기록해 전국 17개 시·도 중 집값이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 평균 상승률(5.02%) 대비 두 배 이상 높은 수준으로 이 같은 서울의공동주택 공시가격 상승률은 2007년 이후 11년만에 최대치 기록이다. 사진은 서울 강남구의 한 아파트의 모습. 2018.04.30.  20hwan@newsis.com

위 사진은 특정사실과 관련없음.

【세종=뉴시스】임재희 기자 = 전국 9개 공동주택(아파트)에서 다중이용시설 기준을 초과한 라돈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정부가 다중이용시설에 비해 느슨하다는 지적을 받아온 아파트 기준치를 손볼 것으로 알려졌다.

 21일 환경부가 더불어민주당 송옥주의원에게 제출한 '공동주택 라돈 농도 분포조사로 인한 영향인자 도출 및 저감방안 마련 연구'에 따르면 서울 등 9개 지역의 아파트에서 WHO 기준을 넘는 라돈이 확인됐다.

 서울, 인천, 김포, 강릉, 원주, 춘천, 아산, 세종, 함양군의 아파트 178가구의 라돈 농도를 지난해 10월12일부터 올 1월30일까지 3일간 측정한 결과 평균 31~96베크렐의 라돈이 측정됐다.

 조사대상 가운데 WHO 기준을 상회한 곳은 강릉 9가구, 아산 8가구, 김포 3가구, 세종·춘천·함양 각 2가구, 서울 1가구 등 15%인 27가구였다. 춘천 1가구(181베크렐)와 강릉 2가구(170베크렐·149베크렐) 등 3가구에선 다중이용시설 기준치인 148베크렐을 웃돌았다.

 WHO는 실내 기준치를 100베크렐로 권고하되 각 나라 특수성을 고려해 300베크렐 이내에서 정하도록 권하고 있다. 국가별 기준치는 독일 100베크렐, 미국 148베크렐, 스웨덴 200베크렐 등으로 다양하다. 핀란드·체코는 신규주택엔 200베크렐, 기존주택엔 400베크렐까지 라돈 농도를 허용하고 있다.

 한국은 공동주택의 경우 실내 라돈 농도 기준을 200베크렐(Bq/㎥)로 정해 관리하고 있는데 이번 연구용역에서 이 기준치를 초과한 곳은 한 곳도 없었다.

 다만 다중이용시설 기준치를 초과한 아파트가 나온 상황에서 아파트의 기준치가 다소 느슨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따라 환경부는 전문가 검토, 관련업계 협의 등을 거쳐 아파트 실내농도 기준치를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 관계자는 "라돈 등이 나오는 모나자이트 등을 사용한 침대와 달리 아파트 등 건물의 경우 토양과 암석중에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우라늄 등이 방사성붕괴를 거치는 과정에서 고농동의 라돈이 검출될 수 있다"며 "귀책사유를 묻기 어려운 점이 있지만 기준치 이원화 지적이 있는 만큼 전문가 등과 강화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