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김슬지 전북도의원 "중기 육아휴직 업무대행자 수당지원 확대하라"

등록 2024.05.23 17:16:2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전북, 추경 신규 사업으로 수당지원 반영하지만 규모 40명에 불과

중기 근로여건 개선과 여성 근로자 경력단절 줄이려면 확대 필요

[전주=뉴시스] 김슬지 전북도의원이 15일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제408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하고 있다. 2024.04.15 *재판매 및 DB 금지

[전주=뉴시스] 김슬지 전북도의원이 15일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제408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하고 있다. 2024.04.15  *재판매 및 DB 금지


[전주=뉴시스] 김민수 기자 = 올해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제1회 추경예산을 통해 전북지역 중소기업 육아휴직 업무대행자에 대한 수당 지원이 이뤄질 예정인 가운데 향후 지원 규모를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도의회 김슬지 의원(비례·교육위)은 23일 전북도 신규사업인 ‘중소기업 육아휴직 업무대행자 수당 지원 사업’의 확대 추진 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지원 사업 반영은 매우 환영하는 바이나, 사업의 목적과 규모에서는 다소 미흡하다”면서 “도내 중소기업의 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지역인재 유출뿐만이 아니라 여성의 경력단절 감소를 통한 여성의 경제활동 활성화를 위해 적극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북자치도가 반영한 중소기업 육아휴직 업무대행자 수당지원 사업은 지역인재 유출·이탈 방지 및 육아휴직 제도 안정적 정착유도 목적으로 관련예산은 총 7000만원이며 수당지원비 6000만원(육아휴직에 따른 업무대행자 40명에게 수당 월 30만원 최대 5개월 지원)과 운영비 1000만원이 책정됐다.

김 의원은 이어 “광주와 경북에 이어 전북이 세 번째로 시행하는 사업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도내 중소기업수에 비하면 지원규모가 매우 부족하다”면서 “지역인재 유출을 막겠다는 목적이라면 다른 지역과의 확실한 차별화를 위해 보다 확대된 수당지원 정책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슬지 의원은 지난해 말 도의회 제405회 정례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공공분야와 대기업에 비해 열악한 도내 중소기업의 육아휴직 제도 활성화를 위해 정기적인 실태조사와 남성 육아휴직 확대, 경력보유 여성 고용기업 지원 확대, 도내 여성 경제활동 활성화 전담부서 신설 등 저출생 대응과 경력보유 여성의 경제활동 활성화를 위한 전북자치도의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한 바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