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한일 미래기금에 日기업 17억4000만원 기부…징용기업은 빠져"

등록 2024.05.25 11:50:46수정 2024.05.25 18:02: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日요미우리 보도…라인 사태 속 "경제계, 관계 개선 불변 방침"

[도쿄=AP/뉴시스] 한국 정부의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해법 발표 후 설립된 재단법인 '한일·일한 미래 파트너십 기금(이하 기금)'에 일본 기업이 2억엔(약 약 17억 4000만 원) 이상을 기부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25일 보도했다. 사진은 김병준 전경련 회장직무대행(왼쪽)과 도쿠라 마사카즈 경제단체연합회(경단련) 회장이 지난해 5월 10일 일본 도쿄의 경단련에서 한-일 미래 동반관계 기금'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모습. 2024.05.25.

[도쿄=AP/뉴시스] 한국 정부의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해법 발표 후 설립된 재단법인 '한일·일한 미래 파트너십 기금(이하 기금)'에 일본 기업이 2억엔(약 약 17억 4000만 원) 이상을 기부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25일 보도했다. 사진은 김병준 전경련 회장직무대행(왼쪽)과 도쿠라 마사카즈 경제단체연합회(경단련) 회장이 지난해 5월 10일 일본 도쿄의 경단련에서 한-일 미래 동반관계 기금'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모습. 2024.05.25.


[서울=뉴시스] 김예진 기자 = 한국 정부의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해법 발표 후 설립된 재단법인 '한일·일한 미래 파트너십 기금(이하 기금)'에 일본 기업이 2억엔(약 약 17억 4000만 원) 이상을 기부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25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의 게이단렌(経団連·일본경제단체연합회)은 전날 기금에 근거한 협력 사업을 확충한다고 발표했다.

특히 기부 목표액이 1억엔을 웃도는 2억엔이 모였다고 밝혔다. 한일 양국 간 인적 교류, 산업 협력을 한 층 강화할 방침을 내세웠다.

기금은 윤석열 정권의 강제징용 해법 발표 등 결단에 대한 게이단렌의 자발적인 '호응 조치'로서 설립됐다고 신문은 설명했다.

그러나 신문은 "게이단렌은 기부금을 출연한 회원기업 내역을 밝히지 않고 있으나, 일련의 (강제징용) 소송으로 전 징용공(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한 배상 의무가 확정된 일본 피고 기업은 현 시점에서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강제 징용 소송에서 배상 책임이 인정된 일본 기업은 히타치조선, 미쓰비시중공업, 일본제철 등이다.

요미우리는 "한국 정부계 재단이 배상금 상당액을 원고에게 지급하려는 해결책이 진행 중이며 배상 문제가 최종 결착되지 않았기 때문이다"고 부연했다.

또한 신문은 "한국에서는 한국 IT 대기업 네이버가 대주주인 라인야후에 대한 (일본) 총무성의 행정 지도가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며 "게이단렌의 (이번) 발표는 경제계로서 관계 개선 방침에 변함이 없다는 점을 보여주려는 의도도 있어 보인다"고 분석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