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암고 교장 "'계엄고' 조롱까지…아이들 피해 안타까워"
충암고 교장, 학부모회장 국회 교육위 현안질의 출석
"계엄 이후 120~130통 항의 전화…학생들 조롱 듣는다"
학부모들 "잘못은 尹이 하고 피해는 고스란히 아이들이"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교육위원회의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 사태 관련 현안질의에서 이윤찬 충암고 교장이 의원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4.12.09. [email protected]
오세현 충암고 학부모회장은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교육위원회 현안질의에 참고인으로 출석해 "학생들의 경우 가장 중요한 것은 친구들 사이에서 거론이 되는 말들인 것 같다. '네가 지금 교육을 받으면 윤(대통령)처럼 되지 않을까' 이런 비아냥을 듣는다"고 전했다.
오 회장은 학부모들의 우려도 전했다. 충암고 학부모들은 단체 채팅방에서 "잘못은 윤(대통령)이 하고 피해는 고스란히 아이들이 받는 현실이 참 안타깝다", "학교 거론 좀 안 했으면 하는데 라디오, TV도 그렇고 아이들이 가장 우려된다"는 걱정 섞인 말들을 주고 받았다고 한다.
오 회장은 "지나가는 어른이 그랬다고 한다. '충암은 절대 안 된다 쯧쯧쯧'"이라며 "이런 것들에 대해 학부모 입장에서 화가 난다고 말씀해 주신다"고 했다.
이어 오 회장은 "학교에서도 정치적인 (내용을) 거론을 하지 않고 있다"며 "(학생들이) 선생님들을 믿고 따르고 있기에 저는 굉장히 다행이라 생각하는데, 탄핵이나 나라 걱정은 부모들이 맡고 아이들이 안정적으로 학교를 다닐 수 있게끔 도와 주셨으면 감사를 드리겠다"고 호소했다.
충암고는 지난 6일 가정통신문을 내 '9일부터 종업식인 내년 2월6일까지 등교 복장을 임시로 자율화한다'고 했다. 교복을 보고 길거리에서 일부 시민들이 학생들에게 부당한 대우를 하는 피해를 막기 위한 조치다.
언론에서 윤 대통령과 측근들을 '충암파'라 질타하는 것을 두고도 이윤찬 교장은 "뉴스에서 계속 '충암파'가 이야기 되면서 지탄의 대상이 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 (학생들이) 부끄럽기도 하고 굉장히 괴로워하고 있다"고 했다.
이 교장은 "학생들이 상황을 처음에 잘 극복하고 있었다"며 "인근 학교 친구들로부터 많이 놀림을 받고 어른들이 식당, 거리에서든 조롱투의 말을 많이 한다"고 전했다.
이 교장은 학교에 항의가 들어오는지 묻자 "(계엄령 선포 이후) 한 이틀 간 100통 정도 왔고 금요일(6일) 20통 정도 왔다"고 설명했다.
그는"도대체 충암고는 어떤 학교이길래 이런 선배들이 나왔느냐", "학교 폭파해라"는 항의 내용도 일부 전했다.
이 교장은 "(학생들이) 또래 아이들에게 가장 많이 받는 조롱은 '교명을 계엄고로 바꿔라'"라며 "선생님들에게 질타하는 것은 '어떻게 가르쳤길래 이런 사람들이 국가를 이렇게 만드느냐' 이런 류의 성난 표현들"이라고 밝혔다.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교육위원회의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 사태 관련 현안질의에서 이윤찬(왼쪽) 충암고 교장이 의원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4.12.09. [email protected]
이 교장은 "졸업한 선배들은 40여 년 전에 졸업한 졸업생들"이라며 " 아이들과 한 번도 이렇게 실제 만난 적도 없고 교직원들과도 단 한 번 연락을 하거나 만나거나 이런 관계 형성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호소했다.
그는 "어떤 홍보물이나 홈페이지 등에서 대통령을 배출한 학교라고 자랑한 적도 없다"며 "이걸 활용해서 예산을 따 온다는 행위는 단 한 번도 꿈꿔보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 교장은 윤 대통령이 예비후보 시절 충암고를 방문했던 당시의 일화를 언급하면서 당시 반대한 바 있다고 했다.
이 교장은 문정복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에 "2021년 9월6일로 기억한다"며 "동문회 관계자로부터 이틀 뒤 윤 (당시) 예비후보가 방문할 테니 그렇게 알라는 통보에 가까운 (식이라) 저는 말도 안 된다고 이야기했다"고 했다.
이 교장은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위배와 코로나19 유행 상황에 방역지침 위반이 우려돼 거절하려 했으나, 동문회에서 '선배가 후배 만나 격려해주러 오는 게 안 될 이유가 뭐냐'고 말하면서 방문 일정을 밀어 붙였다고 주장했다.
이 교장은 "자칫 잘못하면 내가 징계받을 수도 있는 사안이다 이렇게 얘기를 하면서 교육청과 협의를 했다"며 "인원을 최소화해서 20명으로 제한을 했지만, 그 다음날 9월8일 150명의 인원이 학교에 방문을 했다"고 주장했다.
이날 교육위는 야당 단독으로 열렸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오석환 차관은 불참했다. 교육부는 "의사일정에 대한 여야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정부가 출석하기 어려운 상황이 됨에 따라 불참하게 됐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