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식량 원조 받던 대한민국, 올해 17개국에 역대 최대 쌀 15만t 지원

등록 2025.02.18 11:00:00수정 2025.02.18 12:22:2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아프리카·중남미 등 난민·영양결핍 아동 818만명 대상

"8년차 맞은 식량원조 사업, 세계 식량위기 극복 기여"

[세종=뉴시스]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유엔 세계식량계획(WFP)을 통해 아프리카, 아시아, 중동, 중남미 등 17개국의 난민, 강제 이주민, 영양결핍 아동 등 총 818만 명 대상으로 15만t의 쌀을 지원한다고 18일 밝혔다. (사진=농진청 제공) 2025.02.1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유엔 세계식량계획(WFP)을 통해 아프리카, 아시아, 중동, 중남미 등 17개국의 난민, 강제 이주민, 영양결핍 아동 등 총 818만 명 대상으로 15만t의 쌀을 지원한다고 18일 밝혔다. (사진=농진청 제공) 2025.02.18.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박광온 기자 =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유엔 세계식량계획(WFP)을 통해 아프리카, 아시아, 중동, 중남미 등 17개국 난민, 강제 이주민, 영양결핍 아동 등 총 818만명 대상으로 15만t의 쌀을 지원한다고 18일 밝혔다.

우리나라는 2009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개발원조위원회(DAC) 가입을 계기로 국제사회 최초로 '수원국(원조를 받는 나라)'에서 '공여국(원조해 주는 나라)'으로 전환했다.

이후 2018년부터 식량원조협약(FAC) 가입과 함께 매년 5만t 규모의 쌀을 지원했다. 지난해에는 식량원조 규모를 10만t으로 늘렸고, 올해 지원 규모를 더욱 확대했다.

정부는 지원 대상국으로 ▲아프리카 9개국(케냐, 우간다, 에티오피아, 모잠비크, 마다가스카르, 나미비아, 모리타니, 시에라리온, 기니비사우) ▲아시아 4개국(아프가니스탄, 방글라데시, 필리핀, 타지키스탄) ▲중동 3개국(레바논, 예멘, 시리아) ▲중남미 1개국(쿠바) 등 총 17개국을 선정했다.

올해는 역대 최대 규모의 물량이 지원되는 만큼 상·하반기 두 차례에 걸쳐 지원한다. 울산, 군산, 목포, 부산 등 총 4개 항구를 통해 오는 4월과 10월께 출항할 예정이며 식량 분배는 7월부터 시작된다.

기후변화와 내전 등으로 인해 식량 위기국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과 지원이 절실한 상황에서 농식품부는 다각적인 지원을 병행해 나갈 계획이다.

지난 1월에 발표한 국제농업협력 5개년 로드맵(2025~2029년)에 따라 케이(K)-라이스벨트, 스마트팜 등 대표 농업 브랜드 사업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체계적 사업 관리를 위해 부처 내 총괄 전담 조직(글로벌농업개발추진팀)을 신설하고 전문 지원기관도 지정해 운영한다.

정혜련 농식품부 국제협력관은 "8년 차를 맞이한 식량원조 사업은 과거 유엔세계식량계획으로부터 지원을 받았던 우리가 선진국으로 격상됐음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사업으로 자리매김했다"며 "앞으로도 세계 식량위기 극복에 기여하기 위해 식량원조 사업의 대상 국가와 지원 품목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세종=뉴시스] 사진은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지난해 6월13일 목포항에서 해외원조 쌀 1만8000t 출항하고 있는 모습. (사진=aT 제공) 2024.06.13. photo@newsis.com

[세종=뉴시스] 사진은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지난해 6월13일 목포항에서 해외원조 쌀 1만8000t 출항하고 있는 모습. (사진=aT 제공) 2024.06.13. [email protected]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