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민주 "국힘, 노동자 혹사 아닌 반도체 산업 지원에 집중해야"

등록 2025.02.19 19:38:46수정 2025.02.19 22:12: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반도체특별법 '주 52시간 특례' 거듭 주장한 국힘 비판

[서울=뉴시스] 조성봉 기자 =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1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쿠팡-소상공인·민생단체 상생협약 체결 및 배달앱 사회적대화기구 출범식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2025.02.19. suncho21@newsis.com

[서울=뉴시스] 조성봉 기자 =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1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쿠팡-소상공인·민생단체 상생협약 체결 및 배달앱 사회적대화기구 출범식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2025.02.19.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김지은 기자 = 더불어민주당은 19일 국민의힘이 '주 52시간 근로제' 예외 규정이 포함된 반도체 특별법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하자 "노동자 혹사 명문화가 반도체 산업 지원보다 우선이라는 비인격적인 주장"이라고 비판했다.

강유정 원내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을 통해 "국민의힘이 반도체 특별법에서 주 52시간제 예외 없이 협의할 수 없다는 투정을 부리고 있다"며 "특별법의 골자는 전력, 용수, 도로 등 산업 인프라를 정부가 책임지고 구축하자는 것"이라고 밝혔다.

강 대변인은 "초과 노동이 없어서 반도체 산업이 위기라는 국민의힘 주장은 이미 현장에서 배척당했다"며 "업계 전문가들은 한때 세계 최고였던 특정 회사가 기울어가는 건 후진적인 기업 지배구조, 경영진의 잘못된 의사결정과 왜곡된 인센티브 구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미 특별 연장근로로 무려 주 64시간까지도 노동할 수 있다"며 "국민의힘의 주장대로라면 반도체 관련 일자리는 과로와 박봉의 기피 일자리가 될 게 뻔하다. 기존 인재 이탈도 우려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이 반도체 산업 진흥에 진심이라면 단세포적 노동자 과로가 아닌 다차원적 산업 지원에 집중해야 한다"며 "주 52시간제 예외 조항을 제외한 반도체 산업 진흥을 위한 특별법 통과에 즉각 동참하라"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