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10년 방치' 광주 중국총영사관 이전 부지, 정비 계획 나왔다

등록 2025.06.10 15:58:22수정 2025.06.10 17:47:2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철제 울타리 철거하고 내부 보이는 울타리로

수풀 정비해 화단…완전 개방은 불가능 전망

"실제 정비 사업 착수까진 상당 시간 걸릴 듯"

[광주=뉴시스] 버려져 있는 광주 서구 동천동 중국주광주총영사관 건립부지. (사진 = 독자 제공) 2024.09.1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광주=뉴시스] 버려져 있는 광주 서구 동천동 중국주광주총영사관 건립부지. (사진 = 독자 제공) 2024.09.11.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광주=뉴시스]이영주 기자 = 중국주광주총영사관이 매입해두고 10여 년째 방치하고 있는 광주 서구 동천동 3000여 평 규모 땅에 대한 활용 계획안이 나왔다.

10일 광주 서구 등에 따르면, 중국주광주총영사관은 이날 서구 관계자들을 만나 서구 동천동 616번지 내 1만316㎡ 부지에 대한 활용안을 밝혔다.

중국총영사관측은 부지를 둘러 싼 1.8m 높이 철제 가림막을 철거하고 내부가 보이는 울타리로 교체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잡목과 수풀 등이 우거져 있는 부지 내부는 정비를 거쳐 화단 등으로 조성하는 방법도 나왔다.

다만 관련 예산을 중국 정부로부터 받아야 해 실제 정비 사업 착수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했다. 완전 개방 또한 어렵다는 입장을 내비치기도 했다.

앞서 중국총영사관은 지난 2014년 7월 영사관 이전을 위해 해당 부지를 사들였다.

그러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 방어체계) 배치 문제로 촉발된 한·중 갈등이 장기화되고 코로나19 펜데믹까지 겹치며 영사관 이전 사업은 사실상 중단됐다.

다른 쓰임새를 찾지 못한 부지는 통행을 막는 철제 가림막만 설치된 채 방치되고 있다. 오랜 기간 관리가 안 된 부지는 수목이 우거지고 각종 벌레가 들끓어 주민 민원이 잇따랐다.

급기야 아파트 단지·상권과 가까운 해당 부지가 도시 미관을 해치고 우범지대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면서 주변 주민들로부터 대책 마련 서명 운동도 이어졌다.

중국총영사관 측은 오는 11일 광주시와 만나 이 같은 내용을 공유할 계획으로 전해졌다.

서구 관계자는 "주민들의 노력으로 영사관 측이 과거 대비 우호적인 태도로 바뀌어 관련 논의에 나서주고 있다. 다만 실제 사업 착수까지는 중국 정부가 연관돼 있어 절차가 복잡해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며 "주민 친화 공간으로 탈바꿈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