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월악·소백·설악산에 '탄소중립 야영장' 생긴다…"태양광·풍력 의존"

등록 2021.12.10 06: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내년 1월15일까지 13개 야영지서 운영

전기 10㎾ 공급…야영객 4인 하루 기준

[서울=뉴시스] 월악산국립공원 닷돈재 야영장 내 마련된 탄소중립 야영장 발전시설. (사진=국립공원공단 제공). 2021.12.1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월악산국립공원 닷돈재 야영장 내 마련된 탄소중립 야영장 발전시설. (사진=국립공원공단 제공). 2021.12.10.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정성원 기자 =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내년 1월15일까지 월악산·소백산·설악산 국립공원에서 탄소중립 야영장을 시범 운영한다고 10일 밝혔다.

탄소중립 야영장은 태양광, 풍력과 같은 재생에너지와 자가발전 자전거를 갖추고 있다. 야영객 4인이 하루 묵는 데 필요한 전기 10㎾가 공급된다.

탄소중립 야영장은 ▲월악산 닷돈재 ▲소백산 삼가 ▲설악산 설악동 등 3곳에 위치한 13개 야영지에 마련됐다.

월악산 닷돈재 야영지 180개 중 5개가 탄소중립 야영지로 운영된다. 태양광, 풍력, 자가발전 자전거가 설치돼 있으며, 소형 화면으로 전기 사용 가능량, 발전량, 탄소 저감량 등을 쉽게 알 수 있다.

소백산 삼가에는 45개 야영지 중 3개에 설치된다. 여기서도 태양광, 풍력으로 공급되는 전기 사용 가능량과 발전량 등을 소형 화면으로 볼 수 있다.

설악산 설악동 야영지 4개에는 태양광을 통해 충전된 이동형 배터리(1.3㎾)로 전기가 공급된다. 이동형 배터리는 1시간 동안 충전해 재사용할 수 있다.

탄소중립 야영장 이용 예약은 국립공원 예약시스템(reservation.knps.or.kr)에서 가능하다. 시범 운영 기간에는 야영장에서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기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송형근 국립공원공단 이사장은 "탄소중립 야영장은 국립공원 내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공단에서 최초로 시행하는 사업"이라며 "시범 운영을 통해 해당 야영지의 탄소 저감 효과를 측정한 후 앞으로 국립공원 야영장에 확대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