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새로운미래 "이원욱·조응천 불참은 '제2의 윤영찬 사태''"

등록 2024.02.04 17:55:54수정 2024.02.04 18:03:28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박원석 "작은 통합 못하는데 대통합 가능할지 의문"

이낙연·김종민 "유감스럽지만 향후 대화로 풀어갈 것"

이원욱·조응천 "'흡수 통합…더 큰 통합 위해 뛰겠다"

[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이낙연 새로운미래 공동대표가 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미래대연합과 새로운미래 공동 창당대회에 참석해 있다. 이날 두 정당은 '새로운미래'라는 당명으로 공동 창당했다. 2024.02.04. scchoo@newsis.com

[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이낙연 새로운미래 공동대표가 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미래대연합과 새로운미래 공동 창당대회에 참석해 있다. 이날 두 정당은 '새로운미래'라는 당명으로 공동 창당했다. 2024.02.04.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강주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 탈당파가 주축인 '미래대연합'의 이원욱·조응천 의원이 4일 이낙연 전 대표가 이끄는 '새로운미래'와의 공동창당에 불참을 선언했다. 새로운미래는 두 의원의 재합류 가능성을 열어뒀지만 연대 과정에서 불협화음이 노출됐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박원석 미래대연합 공동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새로운미래 중앙당 공동 창당대회 후 기자들과 만나 이원욱·조응천 의원의 불참 선언에 "이들의 뜻을 결정을 받아들이고 존중하는데 왜곡은 없어야 한다. 제2의 윤영찬 사태"라고 말했다.

앞서 윤영찬 민주당 의원은 탈당파 모임인 '원칙과상식'에 참여했지만 지난달 10일 탈당하지 않고 민주당에 잔류한 바 있다.

박 공동대표는 "당헌·당규는 새로운미래가 사전에 먼저 제안했고 통합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논의해왔다"며 "그 과정에서 충실히 안 됐던 것은 당명 문제로 내부 논의가 막혀있었고, 그 두 분이 논의가 막히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통합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두 분의 진정성을 의심하지 않지만 작은 통합도 못 하는데 대통합은 어떻게 할지 의문이다. 굉장히 당혹스럽다"고 덧붙였다.

박 공동대표는 '향후 두 의원의 합류가 불가능하냐'는 질문에 "그렇게 보진 않는다"며 "대통합을 말했고, 국민께 희망을 드릴 수 있는 새로운 정치의 진정성이 변함이 없다면 추후라도 함께할 길이 열려 있다. 그분들도 그런 마음이길 바란다"고 답했다.

'논의 과정에서 두 의원이 내건 조건이 받아들여지지 않아서 불참한 건가'라는 질의에는 "차라리 그 점을 분명히 했다면 당혹스러운 결과를 맞지 않았을 것"이라며 "(논의가) 일방적으로 굴복시키려고 하는 태도로 전개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전 의원의)'영혼 없는 흡수통합', '몸만 통합'이라는 말에 동의할 수 없다"며 "개혁미래당 시절 단독 대표를 조응천 의원이 하기로 했는데 그게 어떻게 영혼 없는 통합인가. 납득할 수 없고 그런 자세로 준통합, 대통합을 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이낙연 공동대표는 창당대회 후 기자들과 만나 "유감스럽다. (향후) 소통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종민 공동대표도 "우리가 하나로 통합해 3파전을 해야한다는 데에는 이견이 없기 때문에 경로와 방법에 대한 의견은 앞으로 대화로 풀어갈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종민 공동대표와 함께 미래대연합을 결성했던 이원욱·조응천 의원은 이날 새로운미래당 중앙당 공동 창당대회 직전 입장문을 통해 "더 큰 통합을 위해 오늘 저희는 합당에 참여하지 않는다"라고 밝혔다.

이들은 "새로운미래 참여는 영혼 없이 몸만 얻어 주는 일"이라며 "통합을 위해 신명 나게 일할 수 없는 과정으로, 상상력의 정치로 좋은 나라를 만들겠다는 저희 결심을 훼손시키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더 나아가 이번 공동 창당을 새로운미래로의 '흡수 통합'이라고 정의하며 "가치와 비전 중심의 통합을 주장해온 우리가 '묻지마 통합'을 위해 몸을 던지는 것은 이율배반적이다. 가치와 비전으로 더 큰 통합을 위해 뛰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