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태영건설 PF위기…정부, 분양계약자·협력업체 지원 추진(종합)

등록 2023.12.28 14:44:35수정 2023.12.28 15:23:2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금융당국, 태영건설 워크아웃 신청 관련 대응방안 발표

대주주의 고강도 자구계획 마련 전제로 경영정상화 논의

PF위기, 태영건설 특유 요인 때문…다른 건설사 이상無

[서울=뉴시스] 김명원 기자 =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2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태영건설 워크아웃 신청 관련 대응방안'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3.12.28. kmx1105@newsis.com

[서울=뉴시스] 김명원 기자 =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2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태영건설 워크아웃 신청 관련 대응방안'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3.12.28.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최홍 기자 = 시공능력평가 16위 대형건설사인 태영건설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금을 갚지 못해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자업)을 신청하자, 금융당국은 대주주 고강도 자구노력을 전제로 워크아웃을 통한 경영정상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PF사업장의 재구조화와 더불어 분양계약자·협력업체 등을 신속히 지원하기로 했다.

태영건설 특유 요인 때문…고강도 자구책 요구

정부는 28일 김주현 금융위원장 주재로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산업은행 등과 함께 '태영건설 워크아웃 신청 관련 대응방안'을 발표했다.

이날 태영건설은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에 워크아웃을 신청했다. 워크아웃은 기업이 자력으로 빚을 갚는 것이 불가능할 때 채권단 협의를 거쳐 대출 만기를 연장하거나 신규자금 지원 등을 논의하는 절차다. 채권단의 75% 동의를 거쳐야만 워크아웃에 돌입할 수 있다.

태영건설의 재무적 어려움은 글로벌 긴축과정에서 PF대출·유동화증권 차환이 전반적으로 어려워졌기 때문에 발생했다. 특히 높은 자체시행사업 비중, 높은 부채비율(258%), PF보증(3조7000억원) 등 태영건설이 보유한 특유 요인에 따른 영향이 컸다.

이 때문에 금융당국은 태영건설 워크아웃 사태가 다른 건설사 상황과 다르다고 인식하고 있다. 즉, 과도한 불안심리 확산만 없다면 건설산업 전반이나 금융시장의 시스템 리스크로 번질 가능성은 없다고 봤다.

실제로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올해 9월말 기준 주요 건설사 자기자본 대비 PF보증 비중은 태영건설이 374%로 가장 많았다. 반면 다른 건설사는 현대 122%, GS 61%, DL이앤씨 36%, 포스코이앤씨 36% 등의 수준에 그쳤다.

각사 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9월말 건설사 부채비율도 태영건설이 258%로 가장 높았으며, 나머지는 GS 205%, 포스코이앤씨 128%, 현대 114%, DL이앤씨 75% 등의 수준이었다.

금융당국이 대주주의 고강도 고통분담을 강조한 만큼 워크아웃에 따른 태영건설의 자구책도 본격적으로 이행될 예정이다.

이미 태영그룹·대주주는 1조원 이상의 자구노력과 더불어 워크아웃을 위해 계열사 매각과 자산·지분담보 제공이라는 추가 자구계획을 제출한 상태다.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이를 기반으로 태영건설 경영 정상화 방안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통상 워크아웃 절차는 워크아웃 신청→금융채권자 소집 통보(14일 이내)→1차 협의회 의결→실사·기업개선계획 작성(최장 4개월)→기업개선계획 의결→이행약정 체결·점검 순으로 이뤄진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2주 내에 태영건설에 대한 워크아웃 동의 여부가 결정되고, 채무조정과 금융지원 방안이 결정된다.

PF재구조화·분양계약자·협력업체 지원 추진

우선 금융당국은 태영건설 PF사업장의 정상화를 유도할 계획이다.

태영건설 PF사업장은 올해 9월말 기준 총 60개다. 당국은 각 사업장의 유형과 진행상황에 따라 PF대주단 협약, PF정상화 펀드, 주택도시보증공사(HUG)·주택금융공사 PF사업자보증, HUG분양보증 등을 통해 사업추진·정리를 진행할 방침이다.

사업성·공사 진행도가 양호한 사업장에는 자체 또는 HUG·주금공의 지원이 이뤄진다. 이에 따라 대주단과 시행사는 당초 계획대로 사업을 정상적으로 완공할 수 있게 된다.

정상 진행이 어려운 사업장은 대주단·시행사가 시공사 교체, 재구조화, 사업장 매각 등을 추진한다. PF대주단 협약과 PF정상화 펀드를 통해 재구조화와 매각 지원이 이뤄진다.

분양계약자 보호도 추진된다.

현재 태영건설이 공사 중인 주택사업장 중 분양이 진행돼 분양계약자가 있는 사업장은 22개(1만9869세대)다.

이 중 14개 사업장(1만2395세대)은 HUG 분양보증에 가입된 상태고, 필요하면 시공사 교체로 사업을 계속 진행함으로써 분양계약자가 입주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반면 사업 진행이 곤란한 경우에는 HUG 분양보증을 통해 분양계약자에게 납부한 분양대금(계약금·중도금)을 환급할 수 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이 진행하는 6개 사업장(6493세대)은 태영건설이 시공을 계속하되 필요시 공동도급 시공사가 사업을 계속 진행하거나 대체 시공사 선정으로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나머지 2개 사업장도 신탁사·지역주택조합보증이 태영건설 계속공사와 시공사 교체를 통해 사업에 차질이 없도록 할 방침이다.

금융당국은 협력업체에 대한 지원도 신속히 이행하기로 했다.

현재 태영건설은 공사 140건을 진행 중이다. 이 중 수익성 있는 곳을 선별해 태영건설 또는 공동도급사가 공사를 계속 할 수 있도록 한다. 태영건설이나 공동도급사의 공사 진행이 어렵다면 신탁사 또는 보증기관이 대체시공사를 선정해 공사를 이어갈 수 있다.

이에 대한 협력업체는 581개사에 달한다. 또 이들은 1096건의 하도급 계약을 체결한 상태다. 1096건 중 1057건(96%)이 건설공제조합의 하도급대금 지급보증 가입 또는 발주자 직불합의가 돼 있다. 원도급사 부실화 등으로 협력업체가 하도급대금을 받지 못하게 되면, 보증기관이 대신 하도급대금을 지급하게 된다.

아울러 태영건설에 대한 매출액 의존도가 높아(30% 이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하도급사는 금융사 채무를 일정기간(1년) 상환유예 또는 금리감면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또 일시적 유동성 부족에 처한 협력업체는 신속지원(Fast Track) 프로그램을 우선 적용토록 할 계획이다.

권대영 금융위 상임위원은 이날 브리핑에서 "내일 상거래채권 1485억원이 돌아오는데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에 돌입한 만큼 이는 모두 결제가 이뤄질 것으로 판단한다"며 "애초에 워크아웃의 철학은 상거래 채권 불이행을 막고 금융채무를 만기연장하거나 신규 자금을 넣어 살리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모두발언에서 "향후 워크아웃 과정에서 태영건설의 철저한 자구노력을 바탕으로 채권단과의 원만한 합의와 설득을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며 "이 과정에서 시장참여자의 신뢰와 협조가 필요하다. 정부도 부동산 PF시장의 연착륙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