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주52시간]건설사, 갖은 수를 내보지만…'현장' 적응이 관건

등록 2018.06.24 06: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이인준 기자 = "정부가 수주 산업에 대해 이해하고 있는지 의문. 건설업이 제조업인가? "(대형 건설사 관계자)

 "우리(시공능력 기준 업계 20위권) 수준에서도 아직 어떻게 (적응)할지 결정을 못했다. 업계 동향을 살피고 있는 중이다."(중견 건설사 관계자)

 당장 내달 1일부터 종업원 300인 이상 기업에 '주 52시간 근무제도'가 시행되지만, 건설 업계는 아직 제도에 적응하지 못해 헉헉대고 있다.

 업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고 수준의 근로시간을 줄이기 위해 이미 직원들의 근무시간을 줄이기 위한 유연근무제 등의 이행을 추진해왔고, 갖은 아이디어를 짜내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현장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할 것이라는 불신을 안은 채 제도 시행을 불과 열흘 남겨 놓고 있는 상황이다.

 22일 건설 업계 등에 따르면 내달부터 주당 법정 근로시간을 68시간에서 52시간으로 줄이는 근로기준법 개정안이 시행되면서 건설사들을 제도 이행을 위한 준비에 한창이다.

 유연근무제가 대표적이다.

 GS건설은 지난 5일부터 시차 출퇴근제 등 유연근무제를 골자로 한 근로시간관리시스템을 도입 운영 중이다. 근로자가 업무 관련 사유로 특정일의 출근 시간을 조정할 수 있는 제도다. 호반건설도 직원들이 부서별, 개인별 직무에 맞게 오전 7시30분~9시30분 자율적으로 출근하고, 지정 근무시간 이후 각자 퇴근하는 방식의 유연근무제를 도입해 운영 중이다.

 직원들의 퇴근을 독려하기 위해 아예 오후 6시면 사무실에 있는 PC가 자동으로 종료되는 프로그램을 설치한 곳도 있다.
 또 '연장근로 사전 신청제', '야근신고제'를 운영하기도 한다. 일부 건설사는 야근이 많은 팀은 원인 분석 멘토링을 제공하는 '업무클리닉'을 운영하기도 한다.

 제도 이행이 가까워올수록 다른 건설사들도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제도 이행계획을 공식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아직까지 대응 방식을 결정하지 못한 곳도 있다.

 한 중견건설사는 "제도 도입에 따른 다양한 시나리오를 마련했다"면서도 "어떤 것을 선택할지는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사실상 대응책을 실제 현장에 적용하더라도 정상적으로 이행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반신반의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공사 현장에서 적응이 가능할지 골치를 썩고 있다.

 대형 건설사는 물론 일부 중견건설사들도 본사에 근무하는 사무직은 일부 직군을 제외하면 주 52시간 수준의 근무 체계를 유지해왔다는 점에서 적응에 큰 무리가 없다고 본다. 홍보, 공사관리·분양 등 일부 업무의 경우 영향은 받겠지만 출퇴근 시간을 느슨하게 조정하는 유연 근무제로 대처가 가능하다는 판단이다.
 
 하지만 공사 현장, 특히 해외 현장의 경우 대응이 막막한 상태다.

 공사 현장은 기한이 있고, 눈·비·일조량 등 계절·날씨 영향도 받는다. 예외 없이 주 52시간을 지키는 것이 가능한 일인지 판단이 잘 서지 않는다고 했다. 이 중견업체 관계자는 "대형 건설사에서 어떻게 대응하는지를 좀 지켜본 다음에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공사비용 증가나 근무시간 감소에 따른 직원 임금 삭감 등 현실적 어려움이 뒤따를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또 원청-하도급 업체간 지위상의 차이에서 오는 비용 떠넘기기 등이 나타날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최근 2년간 국내외에서 수주한 프로젝트들은 추가비용 책정이 없다면 손실이 불가피하다"며 "공사 현장 인력들과도 연봉 계약을 다시 해야 하는 데 갈등이 나타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