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미·중 이어 일본도 자국 바이오 강화…K바이오 영향은?

등록 2023.03.24 15:01:00수정 2023.03.24 15:06:5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지속 가능한 미래 위한 바이오 대전환’ 필요

미·중 이어 일본도 자국 바이오 강화…K바이오 영향은?



[서울=뉴시스]황재희 기자 = 미국과 중국에 이어 일본에서도 바이오산업을 보다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나오면서 전세계 바이오 시장이 보다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일본 최대 경제단체인 게이단렌이 미국 바이오경제 행정명령과 같은 바이오경제 실현을 위한 바이오 대전환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하면서 일본에서도 바이오 산업 강화에 드라이브가 걸릴 전망이다.

게이단렌은 우리나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와 비슷한 단체로, 정부의 경제정책과 관련 문제에 대해 조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지난해 9월 미국 바이든 행정부는 바이오, 배터리 등 산업을 강조하며 자국 생산을 중심으로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이행조치를 발표했다. 바이오 분야에 20억 달러를 투자하고 국방부가 미국 내 제조업 인프라 구축을 위해 민관협력사업에 향후 5년간 10억 달러를 출연하는 등의 내용이다.

앞서 중국은 4개월 앞선 지난해 5월 바이오경제 종합역량을 선진국 수준으로 제고시키기 위한 ‘14차 5개년 바이오경제발전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업계에서는 게이단렌의 이번 제안이 미국과 중국 등 정부차원의 집중 지원 계획 발표에 따라 일본 산업계의 위기감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미국 정부도 바이오경제 행정명령 발표 시 유럽, 중국 등에 비해 저하된 미국의 경쟁력을 지적한 바 있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는 2019년 ‘바이오 전략’을 수립한 이래 업데이트 하면서 2030년까지 세계 최첨단 바이오경제 사회를 실현한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지난해 6월 내각이 승인한 ‘경제 재정관리 및 개혁 기본방침 2022’를 통해 양자, AI(인공지능)와 함께 바이오제조, 재생의료, 세포치료, 유전자치료 등 바이오기술과 의료분야가 국익과 직결되는 과학기술 분야로 채택됐다.

그러나 게이단렌은 바이오기술을 사용해 생산된 제품은 기존 제품보다 비싸고 시장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아 기업과 정부가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에 지난해 6월에는 직접 바이오경제 위원회를 설립하고 정부 및 전문가들과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지난 22일 일본 정부가 바이오 대전환을 위해 목표로 삼아야 할 비전과 전략, 세부 조치사항을 제안하며 “바이오 기술로 사회 대전환을 이뤄 미국과 유럽연합(EU)에 뒤진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본은 지속적인 신약개발이 가능한 국가 중 하나이며, 바이오는 일본에 존재하는 미사용 자원의 활용 등 자원이 부족한 일본에서도 국내 공급 능력을 높일 수 있는 분야로 산업계와 정부, 학계가 긴박감을 갖고 이니셔티브를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게이단렌은 이를 위한 전략으로 ▲바이오기술을 통한 가치 창출(생태계 조성) ▲경제적 안정 확보 ▲글로벌 진출 및 규칙 제정 ▲컨트롤타워에 의한 정책 집중화 ▲국민 이해도 제고 등을 꼽았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미국과 중국, 일본 세 나라의 움직임을 보면 특정 바이오산업에 대한 육성 보다는 지속가능한 경제 실현을 위한 레드바이오, 그린바이오, 화이트바이오 등 바이오산업 전반에 걸친 혁신 바이오기술 개발에 대한 정부투자 확대 및 규제, 약가, 조달 등에 대한 제도 개선 필요성을 언급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우리나라도 각 세부 산업별 육성계획 수립과 병행해 바이오경제 실현이라는 큰 그림 하에서 법·제도, 컨트롤타워 등이 제대로 갖춰져 있는지, 그림을 완성하기 위해 보완할 사항은 무엇인지에 대해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