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KB국민은행, AI 서비스 리스크 관리…'AI 거버넌스' 수립

등록 2025.03.13 15:32:2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윤리기준, 위험평가 프레임워크, 생애주기별 정책 등

AI 거버넌스 최고의사결정기구 'AI윤리위원회'도 설치

[서울=뉴시스]KB국민은행은 인공지능(AI) 기술 관련 리스크 관리를 위한 자체 'AI 거버넌스'를 수립했다고 13일 밝혔다. (사진=KB국민은행 제공). 2025.03.13.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KB국민은행은 인공지능(AI) 기술 관련 리스크 관리를 위한 자체 'AI 거버넌스'를 수립했다고 13일 밝혔다. (사진=KB국민은행 제공). 2025.03.13.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조현아 기자 = KB국민은행은 인공지능(AI) 기술 관련 리스크 관리를 위한 자체 'AI 거버넌스'를 수립했다고 13일 밝혔다.

AI 거버넌스란 AI 서비스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고 윤리적·법적 책임을 이행하기 위한 관리 체계를 말한다. KB국민은행은 AI 활용 증가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 지난 2022년부터 자체적인 AI 거버넌스 수립을 준비했다.

AI 거버넌스는 AI 윤리기준·조직문화, 위험평가 프레임워크, 생애주기별 위험관리정책, 금융소비자 보호 등 4가지 핵심요소로 구성됐다. AI 기술이 활용되는 모든 과정에서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한다.

윤리기준은 AI 활용을 위해 모든 임직원이 준수해야할 기본 원칙이다. 모든 임직원은 AI 윤리교육을 정기적으로 받아야 하고, AI 개발자는 별도의 개발 가이드 교육을 받는다.

위험평가 프레임워크는 AI 서비스가 가진 잠재 위험을 사전에 식별하고 관리하는 체계로 서비스의 위험등급을 허용불가, 고위험, 중위험, 저위험 등 4단계로 분류한다.

높은 위험 등급으로 분류된 AI 서비스는 보다 강화된 관리방안을 적용받는다. 허용불가로 분류된 서비스는 기본권 침해나 금융시장 건전성을 해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도입 자체가 불가능하다.

AI 서비스의 생애주기를 반영한 위험관리 프로세스도 수립됐다. AI 서비스의 모든 단계에서 위험요소 검토, 데이터 신뢰성·편향 점검, 모델 성능∙공정성 평가, 정기 모니터링·개선을 통해 안전하고 윤리적인 AI 서비스 구현을 목표로 한다.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AI 서비스 도입에 대비해 AI 활용 사실 고지, 거부 권리 보장, 설명 의무, 민원·피해구제 절차 마련 등의 내용도 이번 거버넌스에 담겼다.

국민은행은 AI 거버넌스 원칙을 뒷받침하는 최고의사결정기구인 'AI윤리위원회'도 설치했다. AI윤리위원회는 고위험 서비스 승인, 윤리기준·위험관리 정책 수립 등 AI의 윤리적 활용을 위한 전략 수립과 의사결정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AI거버넌스를 통해 금융 혁신을 선도하는 AI 활용 모범 사례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