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AI 발생' 브라질産 닭고기 수입 중단…닭·계란값 자극할라 '예의주시'

등록 2025.05.19 10:44:51수정 2025.05.19 11:22: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계란·가금육·가금생산물 등 수입금지

정부 "납품업체들 보유 재고 2~3개월치"

"단기 영향 제한적…할당관세 추진 등 논의"

과거 '브라질 썩은 닭' 사태 때 한달새 10%↑

[서울=뉴시스] 고범준 기자 = 사진은 지난해 7월 22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소비자들이 닭고기를 살펴보고 있는 모습. 2024.07.22. bjko@newsis.com

[서울=뉴시스] 고범준 기자 = 사진은 지난해 7월 22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소비자들이 닭고기를 살펴보고 있는 모습. 2024.07.22.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박광온 기자 = 브라질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가 발생하면서, 우리 정부가 브라질산 가금류 수입을 전면 중단했다.

브라질은 국내 닭고기 수입 물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국가로, 이번 조치가 향후 닭고기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18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15일 선적분부터 브라질산 종란(병아리 생산을 위한 계란), 식용란, 초생추(병아리), 가금육 및 가금 생산물의 수입을 전면 금지됐다.

이달 1일 이후 선적된 물량은 고병원성 여부를 검사한 뒤 반입 여부를 결정한다. 현재 국내에 도착해 검역을 기다리는 브라질산 닭고기 물량은 총 37건, 844t이다.

정부는 "해당 물량은 HPAI 잠복기를 고려할 때 감염 우려가 크지 않으며, 단기적으로 국내 닭고기 수급과 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으로 본다"고 밝혔다.

지난달 기준 수입 닭고기 수급 단가는 ㎏당 2.31달러(약 3231원)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납품업체들이 보유한 재고가 대체로 2~3개월치 있기 때문에 당장은 가격이 뛰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다만, 농식품부는 상황 악화를 대비해 이날 오후 수입업체 및 가공유통업체들과 긴급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수입선 다변화 가능성과 국가별 수급 상황을 점검한다는 계획이다.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사진은 지난해 2월 19일 서울의 한 bhc치킨 매장 모습. 2024.02.19. kkssmm99@newsis.com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사진은 지난해 2월 19일 서울의 한 bhc치킨 매장 모습. 2024.02.19. [email protected]

특히 농식품부는 브라질산을 대체할 수 있는 국가로 미국, 태국, 중국 등을 염두에 두고 있으며, 수급 불안이 현실화될 경우 닭고기 수입에 대한 할당관세 적용도 검토 중이다.

이 관계자는 "수급 차질과 가격 상승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이어질 경우에 한해 할당관세 추진 여부를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당장은 프랜차이즈 치킨 가격에도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것이 정부의 입장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프랜차이즈용 닭고기는 국내산 위주로 조달되고 있다"며 "수입 중단 조치는 주로 단체 급식용이나 일부 유통용 제품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실제 수입 닭고기는 주로 식자재 업체, 단체 급식, 일부 외식 브랜드의 가공품(윙·봉·꼬치 등) 등에 사용된다.

다만 유통 현장에서는 닭고기 가격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브라질산 닭고기는 주로 가공용 원료로 쓰이기 때문에 당장 신선육 가격이 오르지는 않겠지만, 수입선 다변화에 시간이 걸릴 경우 가공품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닭고기는 외식·급식 분야에서 많이 소비되는 대표적인 단백질 공급원인 만큼, 공급 불확실성이 커질 경우 소비자 물가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 2017년 '브라질 썩은 닭 파동' 당시에도 한 달 새 국내 닭고기 소비자 가격이 8~10%가량 상승한 바 있다.

브라질 썩은 닭 파동은 2017년 초 브라질 대형 육가공업체들이 유통기한을 넘긴 고기에서 썩은 냄새를 없애기 위해 금지된 화학약품을 쓰고, 유통기한을 위조해 수출한 사건이다.

정부는 향후 브라질 외 국가로부터 종란을 추가로 확보해 병아리 생산을 늘리는 방안도 병행 검토할 예정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시장에 과도한 반응이 나타나지 않도록 업계와 수급 현황을 면밀히 살피고, 필요한 경우 국내 생산 확대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세종=뉴시스] 사진은 농식품부 전경. (사진=농식품부 제공) 2025.03.26.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 사진은 농식품부 전경. (사진=농식품부 제공) 2025.03.26.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