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망 위기 대응 위해 정책기관 협업 강화…연계금융 추진
기재부, 공급망 정책기관 협의회 개최
정책기관간 역할 분담해 공급망 위기 대응키로
'공급망 통합지원데스크' 설치…수요기업 편의↑
기관간 공동대출·투자 등 연계금융으로 신속 지원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기획재정부 전경. 2023.04.04. ppkjm@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3/04/04/NISI20230404_0001233935_web.jpg?rnd=20230404133049)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기획재정부 전경. 2023.04.04.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 안호균 기자 = 정부와 주요 정책기관들이 공급망 위기 대응을 위해 협력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기업 지원을 위한 현장 데스크를 공동 운영하고, 기관간 연계금융을 통해 자금 지원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기획재정부는 23일 한국수출입은행, 한국산업은행, 한국무역보험공사, 코트라(KOTRA) 등 10개 정책 기관이 참여한 가운데 공급망 정책기관 협의회를 열고 공급망 분야 정책 대응 능력 제고와 금융지원 정책의 실효성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최근 공급망 이슈는 복합적 리스크를 가지고 있어 단일기관이 독자적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다양한 정책기관이 역할을 분담하고 긴밀하게 협업해 정책의 효과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참여 기관들은 공급망 위기 대응을 위해 기능별 협력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특히 기업과의 접점이 많다는 점을 고려해 협의회를 기업의 현장 애로 사항 및 정책수요를 발굴하고 해소할 수 있는 창구로 활용하기로 했다.
또 수출입은행 내에 '공급망 통합지원데스크'를 설치해 정책 수요 기업들이 기관별로 분산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보다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아울러 참여 기관들은 기관 간 연계 금융을 통해 충분하고 신속한 자금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로 했다.
대규모 사업으로 단일 기관의 대출이 어려운 경우에는 기관 간 공동대출을 추진한다. 리스크가 크고 장기간 소요되는 공급망 관련 인프라 구축 및 핵심 광물 분야 등 대해서는 공동 투자를 통해 리스크를 분담함으로써 민간의 참여를 촉진하기로 했다.
또한 여신 한도가 부족한 기업에 대해서는 후속 보증 및 보험을 적극 연계하는 등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기재부는 "공급망 정책기관 협의체는 향후 공급망 위기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