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미국서 만들면 대당 가격 480만원 된다
반도체 제조시설 등 아이폰 생산 공급망
10%만 미로 이전하는데 4조원, 3년 걸려
![[서울=뉴시스]애플 아이폰이 중국에서 인도로 대거 이전되고 있음을 상징하는 사진. (출처=gizchina) 2025.5.24.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5/24/NISI20250524_0001850912_web.jpg?rnd=20250524092246)
[서울=뉴시스]애플 아이폰이 중국에서 인도로 대거 이전되고 있음을 상징하는 사진. (출처=gizchina) 2025.5.24.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강영진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요구한대로 애플이 아이폰을 미국에서 생산할 경우 대당 1000 달러인 아이폰 가격이 3배 이상 오를 것이라고 미 CNN이 24일(현지시각) 보도했다.
트럼프는 이날 애플과 삼성이 미국에서 휴대전화를 직접 생산하지 않으면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위협했다.
이와 관련 댄 아이브스 웨드부시 증권 글로벌 기술 리서치 책임자 는 지난달 “허구에 가까운 이야기”라고 말했었다.
당시 아이브스는 아이폰을 미국에서 제조하기 위해 아시아에 현재 구축돼 있는 매우 복잡한 생산 생태계를 미국에 재현하는데 막대한 비용이 든다면서 현재 약 1000달러인 가격이 3배 이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웨스트버지니아와 뉴저지에 팹(반도체 제조공장)을 만들어 공급망을 구축한다고 치자. 그러면 아이폰 하나에 3500달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팹은 전자기기의 핵심 부품인 컴퓨터 칩을 만드는 고급 제조시설을 가리킨다.
그는 설사 만든다고 해도 애플이 전체 공급망의 단 10%만 미국으로 이전하려 해도 약 300억 달러와 3년의 시간이 소요된다고 설명했다.
스마트폰 부품의 제조 및 조립은 수십 년 전부터 아시아로 이동했다. 당시 미국 기업들은 수익률이 훨씬 높은 소프트웨어 개발과 제품 디자인에 집중했다. 이러한 전략 덕분에 애플은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기업 중 하나로 자리 잡았고 스마트폰 시장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확보할 수 있었다.
아이브스에 따르면 애플의 아이폰 생산 중 약 90%가 중국에서 이루어진다.
아이폰에 사용되는 칩은 대부분 대만에서 제조되며, 디스플레이 패널은 한국 업체들이 공급한다. 그 외 몇몇 부품은 중국에서 만들어지며, 최종 조립도 주로 중국에서 이루어진다.
한편 진 먼스트 딥워터 애셋 매니지먼트의 매니징 파트너는 애플이 30% 이상의 관세를 부담하게 될 경우 아이폰 가격을 올리지 않고 버티기 어려울 것으로 추정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