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주춤했던 코로나 재확산세…실내 마스크 벗을 수 있나

등록 2022.12.09 05:00:00수정 2022.12.09 07:52:4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사흘 연속 전주 대비 6000~8000명 증가

"유행 감소세 아냐…접종에 더 시간 필요"

일시·단계적 해제 여부·기준 나올 가능성

전문가 토론 거쳐 연말 최종 로드맵 발표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지난 7일 오후 서울시내 한 컨벤션센터에 실내마스크 관련 안내문이 설치되어 있다. 2022.12.09. jhope@newsis.com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지난 7일 오후 서울시내 한 컨벤션센터에 실내마스크 관련 안내문이 설치되어 있다. 2022.12.09.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이연희 기자 = 약 2주 간 주춤했던 코로나19가 이번주 들어 재확산세를 보이면서 정부가 예고한 대로 내년 1월 말께 실내에서 마스크를 벗을 수 있을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9일 8시30분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주재하고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 추진방향을 안건으로 상정해 논의할 계획이다.

구체적인 로드맵은 이달 말 확정될 예정이지만 추진 방향에는 유행규모 및 접종률 등 마스크 의무 해제가 가능한 방역 지표 기준을 비롯해 일시 해제 또는 연령·시설별 단계적 해제 여부 등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지난 7일 정례브리핑에서 "마스크 의무 조정 관련 기준과 대상, 방법 등은 현재 전문가 그룹 논의 중"이라며 "이행 시기는 향후 기준 충족시 이르면 내년 1월에서 늦어도 3월 사이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대전과 충남 등 일부 지자체는 내년 1월1일, 즉 다음달부터 단독으로 행정명령을 내려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를 추진한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도 당초 내년 3월 이후 7차 유행이 안정화되면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를 논의할 수 있다는 입장이었으나 그 시기를 앞당겼다. 대신 전국적으로 단일한 방역체계를 유지하자는 메시지를 강조했다.

정부는 오는 15일과 26일 토론회를 열고 방역 단계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이후 국무총리 직속 전문가 자문기구인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회에서도 토의를 거쳐 이달 말까지 마스크 해제 기준 등 최종 로드맵을 확정해 발표할 계획이다.

변수는 코로나19 유행 추이다. 예고한 대로 내년 1월말쯤 유행이 예상대로 감소하지 않으면 실내 마스크를 해제하기는 쉽지 않은 여건이기 때문이다.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한덕수 국무총리가 지난달 23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이태원 사고 및 코로나19 중대본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2.12.09. ppkjm@newsis.com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한덕수 국무총리가 지난달 23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이태원 사고 및 코로나19 중대본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2.12.09. [email protected]

방역 당국은 최악의 경우 7차 유행으로 내년 3월까지 하루 최대 20만명까지 확진자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은 바 있다.

2주간 증감을 반복하며 정체했던 코로나19 유행도 이번주 들어 다시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6일 신규 확진자는 전주 대비 6143명, 7일 7312명, 8일 8184명이 각각 증가했다.

반면 2가 백신 접종률은 전체 인구 대비 7.1%, 성인 대비 8.2%로 10%에 미치지 못한다. 고위험군인 60세 이상 고령층도 대상자 중 23.5%, 감염취약시설은 34.7%에 불과하다. 정부가 세운 목표치인 고령층 50%, 감염취약시설은 60%에 비하면 절반 수준인 셈이다.

백 청장도 마스크 해제 시점을 내년 1월로 분명히 지정할 수 없는 이유에 대해 "현재 유행이 감소 추세에 이르렀다고 보지 않았고, 아직 2가 백신 접종 중으로 보다 많은 고령층의 접종에는 조금 더 시간이 필요하다"며 "인플루엔자(독감)와 같은 감염병의 확산 방향도 불명확하다"고 설명했다.

단기적으로는 "본격적인 기온 하락, 또 실내 밀집도 상승요인 등을 고려하면 반등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