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국정원 "김정은, 공무원 피격 경위 조사·시신 수색 지시 정황"

등록 2020.11.03 17:38:0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사건 뒤 北 통신 이용량 줄고 음어체계 변경"

"코로나 관리 못하면 간부에게 사형선고까지"

"북중 일부 접경지역에는 지뢰를 매설하기도"

"코로나 유입 시 큰 재앙…기술적 수단 제로"

"공공기관에 사이버공격 하루 평균 161만건"

[서울=뉴시스]국회사진기자단 = 박지원 국정원장이 3일 국정원 청사에서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답변하고 있다. 2020.11.03.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국회사진기자단 = 박지원 국정원장이 3일 국정원 청사에서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답변하고 있다. 2020.11.03.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문광호 기자 = 국가정보원은 3일 "서해 우리 국민 피격과 관련해 첩보 상으로 김정은이 시신 수색을 지시한 정황이 있었다"고 밝혔다.

국회 정보위원회 야당 간사인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오후 서울 서초구 내곡동 국정원 본원에서 열린 국정원 국정감사 직후 기자들과 만나 국정원이 이같이 보고했다고 전했다.

하 의원에 따르면 국정원은 "김정은의 지시에 따라 사건 경위를 조사하라는 지시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 언론에 노출되고 북한의 통신망 이용량이 줄었다. 음어체계가 조금 변했다"고 했다.

한편 국정원은 "북 사살 소각 문제는 국방부와 해경의 입장을 존중한다"고 밝혔다고 하 의원은 전했다.

북한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관련해 처벌 수위를 강화하는 등 강력 대응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은 "북한이 코로나 방역을 강조하면서 비상 방역법에 코로나 관련 죄를 신설해 코로나를 잘 관리 하지 못한 간부에게 사형 선고까지 가능하게 했다"며 "당 중앙위 검열자를 파견해 방역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코로나 관리 위반은 군법에 따라 처벌하게 했다"며 "코로나 방역을 위해 국경을 봉쇄하고 북중 일부 접경지역에는 지뢰를 매설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올해 2월27일 당 정치국 회의 문건에 코로나 유입 시 큰 재앙이 온다는 말이 있었다고 한다. 30만이 죽을지 50만이 죽을지 모르는 상황"이라며 "북한의 코로나 대응 수단은 '제로'다. 물질적 기술적 수단이 0이다. 코로나에 대해서 트라우마가 있고 외부 물자도 아예 안 받는 상황이라고 한다"고 설명했다.

수해 대응과 관련해서는 "북한 최대 비철금속 매설지 함경남도 지역에 여의도 면적의 18배에 이르는 침수 피해를 지난 8월~9월 사이에 입었다"며 "납, 아연, 마그네슘 생산량의 30%가 감소하고 추곡도 평년 대비 20만톤 정도 감소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서울=뉴시스]국회사진기자단 = 박지원 국정원장이 3일 국가정보원에서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답변하고 있다. 2020.11.03.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국회사진기자단 = 박지원 국정원장이 3일 국가정보원에서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답변하고 있다. 2020.11.03. [email protected]

이날 국정원 국정감사에서는 국정원의 기술 유출 대응 관련된 보고도 있었다.

여당 간사인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국정원은 "올해 국가 공공기관에 하루 평균 사이버공격이 161만건으로 2018년 41만건에서 4배 급증했다"며 "올해 발생 해킹 사례를 분석한 결과 공격 중 북한이 가장 많고 수법은 해킹메일유포가 84%였다"고 전했다.

이어 "평창 동계올림픽 당시 사이버공격은 국정원과 정부기관이 밤샘 복구로 경기 5시간 전에 정상화했다"며 "국정원은 방산 업체에도 사이버 위협 정보 제공협약을 체결했다"고 했다.

국정원은 "해외기술 유출 총 123건을 적발하고 차단했다"며 "국가별로는 중국이 83건으로 대부분이다. 피해 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기술 보호 수준이 미흡한 중소기업이 65%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이어 3~9배에 달하는 고액 연봉을 주거나 기술자 자녀를 중국 명문대에 보내주고 장학금 지원하는 것을 미끼로 쓰는 사례, 기술컨설팅을 고액을 주고 하는 사례, 국내에 기술유출 목적의 위장 연구소 설립하는 사례 등을 소개하기도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