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조선시대 역병 때도 '자가격리' 했다…성 밖 임시시설 설치

등록 2020.04.08 09:42:31수정 2020.04.08 10:08:3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가난한 자들은 출막, 양반들은 집에서 전염병 다스려

먹고 살길 막막해진 백성들, 먹을 것 찾아 출막으로

감염병 걸린 남편 돌보려는 며느리 만류한 시아버지도

문경 대승사 승려들, 감염병 걸린 사람들 죽 끓여 먹어

 의녀가 환자를 진찰하고 있다 (그림=한국국학진흥원 제공)

의녀가 환자를 진찰하고 있다 (그림=한국국학진흥원 제공)

[안동=뉴시스] 김진호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자가격리'와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가 진행되고 있다.

 그렇다면, 조선시대에도 역병이 돌면 치료를 위해 자가격리 또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시했을까?

8일 한국국학진흥원에 따르면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전염병을 역질(疫疾), 질역(疾疫), 여역(癘疫), 역려(疫癘), 시역(時疫), 장역(瘴疫), 온역(瘟疫), 악역(惡疫), 독역(毒疫)이라 불렀다.

이 중 역(疫)은 널리 유행하는 전염병이라는 의미로, 여(癘)는 좋지 않은 병이라는 뜻으로 사용돼 왔다. 실록은 활인서(活人署)에서 출막(出幕)이라는 임시시설을 성 밖에 두고 감염병 환자를 이 곳에 격리해 돌봤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 시설에는 감염병 환자만 머문 것은 아니었다. 역병의 유행으로 먹고 살길이 막막해진 이들이 먹을 것을 찾아 오기도 했다. 병원과 같은 치료시설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었기에 어느 정도 여유가 있는 양반들은 집으로 감염병 환자를 들여 돌봤다.

16세기 안동의 양반이었던 금난수(琴蘭秀, 1530~1604)가 남긴 '성재일기(惺齋日記)'에는 감염병을 앓는 가족들을 치료하고 돌본 기록이 남아 있다.

1579년 3월 2일의 일이다. 세 달 넘게 전염병이 기승을 부리는 끝에 암자에 나가 있던 큰아들 금경도 병에 걸린다. 금난수는 말을 보내 금경을 데려오게 했다. 다른 아들들은 다른 곳으로 보내 감염을 조금이라도 막고자 했다.

 청나라 대신을 치료하고 있다 (그림=한국국학진흥원 제공)

청나라 대신을 치료하고 있다 (그림=한국국학진흥원 제공)

금난수는 차도를 보이지 않는 남편을 직접 간호하겠다는 며느리를 만류한다. 하지만 며느리는 시아버지의 뜻을 따르지 않는다. 비록 혼인을 한 지 1년도 안됐지만 그 마음과 정성이 너무나 지극했는지 간호를 시작한 지 꼬박 하루가 지나면서 금경의 병세가 차도를 보인다.

금난수는 며느리를 곧바로 자신의 서얼 아우인 금무생의 집으로 가서 거처하도록 했다. 비록 병자인 아들의 몸이 나아졌다고는 하지만 며느리까지 희생시킬 수는 없었기 때문이다.

 이 기록에서 시아버지 금난수는 집을 자가격리 공간이자 치료 공간으로 활용했음을 알 수 있다. 병에 감염된 사람들은 집으로 들이고, 아직 감염되지 않은 사람들은 밖으로 내보내고 있다.

현대의학 측면에서 보면 또 다른 감염원이 될 수도 있겠지만 최대한 병자와 정상인 사람들을 격리함으로써 병의 감염을 막고자 하는 노력으로 보여진다. 특히 감염을 염려해 며느리라고 해도 아픈 아들을 간호하지 못하게 만류하는 모습에서 금난수가 감염병을 대함에 있어 매우 이성적이고 침착한 태도를 취하고 있음을 엿 볼 수 있다.

권상일의 '청대일기(淸臺日記)'에는 감염병에 걸린 사람들을 거둬준 '대승사(大乘寺)'라는 절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다. 1755년 12월 경상도 지역에 감염병이 기승을 부려 수그러들 기미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자 문경에 있는 대승사에 거지는 물론 양반과 상놈까지 모조리 모여들었다.

 절에서는 이들을 각박하게 내칠 수 없어 대승사 승려들이 죽을 끓여서 먹였다고 한다.

무엇보다 조선시대 백성들은 실체를 알 수 없이 갑자기 몰아치듯 다가와 생명을 앗아가는 역병 앞에서 속수무책일 수 밖에 없었다. 아픈 이를 돌보려는 인지상정은 감염될 수 있다는 두려움과 늘 상존했다. 그러나 질병의 두려움 속에서도 연대와 돌봄을 통해 고통을 나누는 모습들은 수많은 기록으로 남겨졌다.

한국국학진흥원은 '코로나의 봄, 우리에게 절실한 힐링타임'이란 주제 아래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스토리테마파크 웹진담談 4월호를 발행했다.

 의사, 한의사, 만화가, 시나리오 작가 등 다양한 필진이 참여한 웹진 담談 4월호는 역병과 공포를 넘어서는 힘은 공동체적 연대와 보살핌에 있음을 주제로 담아낸다.

 '어린 종이 봄을 가져오다' (만화=정용연)

'어린 종이 봄을 가져오다' (만화=정용연)

만화가 정용연 화백은 '봄'에서 역병에 걸려 숨을 거둔 아내 김광계의 이야기를 만화로 그려낸다. 지난 겨울 역병으로 아내를 잃은 김광계는 봄이 왔지만 역병이 물러가지 않자 "봄이 와도 봄이 아니로구나"를 되뇌며 슬픔에 빠진다.

봄이 왔는지 산에 다녀오라고 어린 종에게 명을 내린다. 한참 만에 돌아온 어린 종의 품에는 두견화(진달래)가 한 아름이었다. 김광계는 두견화를 병에 꽂으며 비로소 봄이 왔음을 느낀다.

한국한의학연구소 김상현 박사는 '몸은 통(通)하게 하고, 마음은 안정되게'에서 조선시대 역병 정책이 어떻게 실행됐는지를 살펴보고, 서적을 간행하고 반포하던 활동 등도 함께 다룬다.

왕명으로 간행됐던 '벽온방(辟瘟方)' 등 다수의 서적에는 감염병 처방이 실려 있다. 병을 앓더라도 소화가 잘되고 대소변이 잘 나가서 체내의 기운이 잘 통하도록 처방했다. 공포의 감정이 몸의 기운을 닫아버리게 한다는 점을 들어 공포를 다스려야 한다는 점도 잊지 않는다.

이번 호 웹진 편집장을 맡은 공병훈 교수는 "역병과 위기가 빈번했던 조선의 사회적 상황에서 선현들이 공동체 연대와 보살핌을 통해 극복하고 치유했던 경험이 지금 우리 현실에 용기와 희망을 준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