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우주청 개청에 과기정통부 조직개편…"사회문제·미래에너지 대응"

등록 2024.05.26 12:00:00수정 2024.05.26 12:46: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과학기술 활용 사회문제 대응 '공공융합연구정책관' 설치

'미래에너지환경기술과' '공공연구인프라혁신과' 신설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오동현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오는 27일 우주항공청 개청에 따른 조직 정비에 나선다.

과기정통부는 우주청 이후의 조직 정비를 위해 그동안 정부 조직·기능 전문가, 연구개발 종사자 등을 비롯해 부처 내·외 의견수렴과 관계부처 협의를 거쳤으며, 이를 반영한 과기정통부 직제 및 직제 시행규칙 개정(안)이 27일자로 시행된다고 26일 밝혔다.

과기정통부 주요 국정과제의 한 축이었던 우주 개발 및 관련 산업 활성화 기능과 해당 업무를 수행하던 조직이 우주청으로 이관됨에 따라 연구개발정책실이 ▲부서별 명확한 임무 부여 ▲환경변화에 대응한 기능 재조정 등을 주안점으로 대대적으로 개편된다.

먼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기술분야별(종적) 조직으로 정비해 세계 최고·최초를 지향하는 혁신적이고 도전적인 연구개발을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첨단바이오를 비롯 반도체, 이차전지, 미래소재 등 전략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원천기술 확보라는 부서 임무를 명확히 하는 한편, 다양성·수월성 기반의 기초연구와의 연계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우주 정책 및 사업을 담당하던 2개 과가 우주청으로 이관되는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기술 분야 간 융합과 연구개발 주체 간 협력을 지원하는 임무지향형(횡적) 조직으로 개편된다. 국(관)의 명칭을 공공융합연구정책관으로 변경하고, 과학기술을 활용한 사회문제 해결(국방·치안·복지·안전 등)을 위한 전담부서 '공공융합기술정책과'를 신설하는 한편, 핵융합·청정 수소 등으로 대표되는 미래 에너지 기술과 가뭄·홍수 등 더욱 빈번해지는 기후 재난에 대비한 혁신적인 기후 적응 기술 개발을 전담할 '미래에너지환경기술과'도 신설된다.

또한 초거대인공지능 활용·확산에 따른 안정적 에너지원 확보와 탄소중립의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원자력연구개발 전담부서도 확대 개편돼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혁신형 원자력 기술개발과 우수한 국내 원자력 기술의 해외 진출도 더욱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가속기를 비롯한 대형연구시설의 운영 및 활용을 고도화하고, 대형연구시설이 연구개발 주체 간 협력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공공연구인프라혁신과도 신설될 예정이다. 신설 부서에서는 날로 중요성이 커져가는 연구 데이터의 체계적 활용·확산 정책도 수행할 계획이다.

기존 과학기술일자리혁신관은 국(관)의 기능과 정체성이 더욱 명확하게 부각되도록 연구성과혁신관으로 개편된다. 연구성과혁신관은 공공기관 지정 해제 이후, 자율과 책임에 기반한 정부 출연(연)의 혁신을 지원하는 한편, 관계부처(중소기업부·교육부)와 협업을 바탕으로 딥사이언스 스타트업 창업, 대학-출연(연) 간 칸막이 해소 등  연구 성과가 경제·사회적 부가가치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관련 정책을 수립·추진한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올해 1월 우주항공청 특별법 통과 이후 우주청 개청을 차질 없이 준비하는 동시에, 우주 기능 이관 이후의 과기정통부 연구개발 분야 개편을 체계적으로 준비해왔다"며 "이번 조직개편이 하드웨어적인 조직 정비에 머물지 않고, 글로벌 과학기술 강국 도약, 국민 삶의 질 제고의 임무 완수를 위한 부처 내·외 협업 활성화, 현장 중심의 일하는 방식 혁신 등 소프트웨어적인 혁신으로도 이어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우주청 개청에 과기정통부 조직개편…"사회문제·미래에너지 대응"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