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日 현지언론은 총무성 앵무새?…언론재단 "대다수가 라인야후 행정지도 옹호"

등록 2024.05.29 17:31:14수정 2024.05.29 20:32:5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한국언론진흥재단, 日 언론 라인야후 사태 보도 분석

개인정보유출 문제 심각성 집중 부각, 행정지도 지지

일부 매체만 "보안 강화와 자본 관계 간 연관성 적다" 지적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네이버가 일본 소프트뱅크와 절반씩 지분을 나눠 가지고 있는 글로벌 메신저 '라인'의 경영권을 일본 총무성의 라인야후 지분 매각 요구에 따라 일본 기업에 내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네이버는 매각을 포함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소프트뱅크와 협의하겠다고 했고, 정부는 네이버의 입장을 최대한 존중해 필요 시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사진은 13일 서울 시내 한 라인프렌즈 매장 모습. 2024.05.13. hwang@newsis.com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네이버가 일본 소프트뱅크와 절반씩 지분을 나눠 가지고 있는 글로벌 메신저 '라인'의 경영권을 일본 총무성의 라인야후 지분 매각 요구에 따라 일본 기업에 내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네이버는 매각을 포함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소프트뱅크와 협의하겠다고 했고, 정부는 네이버의 입장을 최대한 존중해 필요 시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사진은 13일 서울 시내 한 라인프렌즈 매장 모습. 2024.05.13.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윤정민 기자 = "라인야후는 책임의 엄중함을 자각하고 관리 체제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요미우리신문, 3월12일자 사설)
"개인정보 보호가 철저하지 않으면 라인이라는 서비스는 존속될 수 없다" (아사히신문, 4월10일자 사설)

일본 주요 언론이 최근 두 달 사이에 라인야후 사태 기사를 70여건 보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일본 총무성 행정 지도에 지지하는 내용이었다. 한국과의 투자협정 위반 가능성 등을 이유로 행정 지도를 비판한 언론은 소수에 불과했다.

29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발간한 '라인 사태를 바라보는 일본 언론의 시각'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 5대 일간지(요미우리·아사히·마이니치·니혼게이자이·산케이 신문)는 일본 총무성의 1차 행정 지도(3월5일) 시점 전후부터 지난 19일까지 총 66건의 기사를 보도했다.

이들이 보도한 내용은 대부분 라인의 개인정보 유출 문제 심각성 지적과 함께 일본 총무성 행정지도 입장 전달이었다. 총무성이 내린 행정지도 '네이버의 라인야후 자본 관계 재검토'가 정보 유출 문제 해결을 위한 필수적인 조치라는 데 동의했다.

일부 기사에는 네이버의 자본 관계 재검토 요구로 한국과의 외교적 마찰이 나타날 것이라는 내용이 있었다. 마이니치신문은 지난달 10일 "일본 정부 대응에 한국으로부터 반발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고 보도했다. 한국 정부 반발이 심각한 수준에 있으며 총무성 행정 지도가 양국 관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담았다.

또 라인야후 한국인 대표(신중호 최고제품책임자)가 물러난 것을 '한국 따돌리기'로 생각하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며 네이버와 소프트뱅크 간 출자비율 교섭이 난항을 겪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들 매체도 라인야후 정보 유출 사태 심각성을 강조하는 모습을 보였다. 정보 유출에 대한 네이버 책임을 부각시키고 행정 지도가 단순한 경영권 문제가 아닌 정보 보호 차원에서 필요했다는 뜻이다.
[도쿄=AP/뉴시스]사진은 야후 재팬과 라인의 통합 전 로고. 라인야후는 지난 10월 네이버와 일본 소프트뱅크가 만든 합작사 Z홀딩스의 자회사인 야후재팬과 라인이 합병해 출범했다. 2023.11.28.

[도쿄=AP/뉴시스]사진은 야후 재팬과 라인의 통합 전 로고. 라인야후는 지난 10월 네이버와 일본 소프트뱅크가 만든 합작사 Z홀딩스의 자회사인 야후재팬과 라인이 합병해 출범했다. 2023.11.28.


일본 주요 매체는 라인야후 개인정보 관리 문제에 부정적인 입장인 사설을 냈다. 요미우리신문은 지난 3월12일 사설에서 "라인야후는 책임의 엄중함을 자각하고 관리 체제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총무성은 이번에 라인야후 모회사인 소프트뱅크에 대해서 라인야후에 대해 적극적으로 관여하기를 요청했다"며 총무성이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설을 냈다.

산케이신문은 지난달 2일 "신뢰할 수 있는 경영 체제로 혁신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주장했다. 또 "마쓰모토 총무상은 엄격하게 이용자 이익을 확실히 보호할 것을 요구했다고 밝혔는데 이는 당연하다"는 사설을 냈다.

닛케이신문은 지난 3월6일 "라인야후는 문제가 발각될 때마다 시정 명령을 받았다"는 사설을 전했다. 아사히신문은 지난달 10일 "개인정보 보호가 철저하지 않으면 라인이라는 서비스는 존속될 수 없다"는 사설을 실었다.
[서울=뉴시스]라인(LINE)야후는 자사 서버가 제 3자로부터 사이버 공격을 받아 라인 애플리케이션 이용자 정보 등 약 44만 건의 개인정보가 유출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27일 발표했다. 사진은 일본 공영 NHK가 27일 관련 기사를 보도하는 모습. <사진출처=NHK>

[서울=뉴시스]라인(LINE)야후는 자사 서버가 제 3자로부터 사이버 공격을 받아 라인 애플리케이션 이용자 정보 등 약 44만 건의 개인정보가 유출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27일 발표했다. 사진은 일본 공영 NHK가 27일 관련 기사를 보도하는 모습. <사진출처=NHK>


행정 지도를 비판한 일부 언론도 있었다. 경제 주간지인 동양경제는 지난 17일 '라인야후에 대한 행정지도가 악수(惡手)인 3가지 이유'라는 제목의 기사를 냈다. 이 매체는 이유 3가지로 ▲네이버의 보안 문제에 대한 명확한 근거 부족 ▲자본 관계 재검토와 보안 강화와의 연관성 부족 ▲한국과의 투자협정 위반 가능성을 들었다.

동양경제 측은 네이버와의 자본 관계를 재검토하면 보안이 강화될 것이라는 주장에 대한 근거가 부족하다고 보도했다. 양국 정부가 상호 투자한 기업을 자국 기업과 동등하게 대우해야 한다는 한일투자협정 내 '내국민 대우' 조항도 위반할 여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경제 안보를 앞세운 일본 정부 행동이 한국 이외의 외국 기업 투자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점도 경고했다.

언론재단 측은 이러한 보도 행태를 두고 정부 발표 내용을 비판 없이 그대로 옮기는 '발표 저널리즘' 관행이 라인 사태에서도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대상이 한국 기업이기 때문에 일본 주요 신문사들의 기사나 사설에서는 일본 총무성 대응 방식을 옹호하는 기사와 사설이 지배적이었다"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