옻나무 "잘못 접촉하면 가렵고 물집 생기는 피부염 걸려"

나뭇잎과 새싹, 꽃이 만발한 들판에서 맛있는 도시락을 먹으며 행복한 시간을 보내는 것도 낙이다.
그러나 들뜬 나머지 식물을 함부로 만지거나, 건강 보양식을 만들기 위해 아무 나무를 베는 행동은 조심해야 한다.
접촉성 피부염에 걸려 한동안 고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1일 미앤미네트워크 피부클리닉 천호점 정재윤 원장으로부터 야외활동 시 생길 수 있는 접촉성 피부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접촉성 피부염이란
접촉성 피부염은 원발성과 알레르기성으로 나눌 수 있다.
쉽게 말해 원발성 접촉성 피부염은 아기들이 기저귀를 찰 때 생긴다. 접촉 물질이 피부에 직접 닿아 자극을 주면서 발생한다.
반면 알레르기성은 개인에 따라 다르다.
사람에 따라 화장품이나 니켈 등이 피부에 닿아 반응을 보이는 것이 알레르기성이다. 개인차이도 많고 발병 원인도 매우 다양하다.
특히 옻나무는 많은 사람들에게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옻나무는 전국에 걸쳐 자라고 있으며 옻나무 새순이나 옻닭 등을 보양식으로 먹는 사람들도 많다.
그러나 옻의 우루시올 물질에 면역력이 없는 사람은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에 걸릴 가능성이 크다.
◇옻나무 때문에 피부염이 생길 수 있다?
옻나무에 대한 면역력이 없는 사람이 옻나무를 만지거나 먹었다면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에 걸릴 수 있다.
그에 따르면 보통 이런 경우 피부염은 발진과 물집, 가려움 등이 생긴다.
치료는 스테로이드(부신피질호르몬)와 항 히스타민제를 사용해 가려움을 다스린다.
그는 “스테로이드,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해 면역반응을 조절하고 가려움 등의 증상을 호전시키는 치료를 실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봄철 산행 등을 할 때 접촉성 피부염을 예방하기 위해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옷을 입는 것이 좋다”며 “벌이 많은 곳을 피하고 벌레에 물렸을 때 사용하는 비상연고 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그는 “황사가 많을 때 납, 수은 등이 모공에 침투해 접촉성 피부염을 일으킬 수 있다”며 “가급적 실내 활동을 하고 불가피하게 외출할 경우 마스크, 모자 등을 착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오현지기자 ohj@newsishealth.com
<관련사진있음>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