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통합발전소' 모델 개발 속도…계통영향 분석 착수
한전 전력연구원, 3.88억 규모 연구용역 발주
VPP 계통영향 분석…성능평가 단체표준 개발
[진주=뉴시스] 한국남동발전 한국형통합발전소(VPP) 내부.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임소현 기자 = 소규모 분산에너지 자원들을 통합해 하나의 발전소처럼 운영하면서 전력시장에서 거래도 할 수 있는 한국형 통합발전소(VPP) 모델 개발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9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에 따르면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은 3억8800만원 규모의 '한국형 통합발전소 요구사항과 성능평가를 위한 단체표준 개발 및 계통영향 분석'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통합발전소 운영시스템 구축과 실증을 포함한 '계통유연자원 서비스화 기술개발' 사업에 착수한 바 있다.
한전이 발주한 이번 연구용역은 계통유연자원화를 통해 다수의 분산자원을 계통과 안정적으로 연계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계통영향을 분석하고 단체표준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새롭게 개발되는 VPP의 운영과 보급확산을 위해 시스템과 기능 측면의 요구사항 및 성능평가를 위한 단체표준 개발, 배전망사업자(DSO)가 배전망에서 VPP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VPP의 계통영향 분석 및 평가 방안 개발 등을 수행하는 용역이다.
구체적으로는 ▲국내 전력산업과 송배전망 환경을 고려한 해외 사례 조사 및 분석 ▲통합발전소의 요구사항 및 단체표준 개발 ▲통합발전소의 해석 모델 개발 및 계통 영향 분석 ▲통합발전소의 성능평가 방안 및 단체표준 개발 등이 추진된다.
산업부는 분산자원 거래 활성화를 위한 기술적·제도적 방안 마련을 위해 올해부터 4년에 걸쳐 총 260억원을 투입한다는 전략을 밝힌 바 있다.
국내 전력시장은 신재생에너지의 급증에 따라 다양한 에너지원을 기반으로 배전망을 중심으로 연계되면서 전력 계통의 안정성와 강건성이 안정적으로 운영되는데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한 분산에너지는 대부분 배전망에 접속돼 재생에너지의 초과 전력에 대한 출력제어도 갈수록 증가해 국가적·산업적 손실이 늘어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따라 정부는 재생에너지 확대에 대응한 안정적 전력계통 운영을 위해 VPP 운영체계와 모델을 개발하고 거래 제도 도입을 위한 정책을 마련에 나섰다. 정부는 이를 통해 다양한 소규모의 분산에너지를 급전 가능한 자원으로 통합해 전력시장에 입찰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이번에 한전 전력연구원이 발주한 용역기간은 착수일로부터 32개월이다.
이번 연구가 완료되면 계통유연자원화를 통해 다수의 분산자원을 계통과 안정적으로 연계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VPP 구축과 운영에 본격적으로 들어갈 전망이다.
시스템과 기능 측면의 요구사항 및 성능평가를 위한 단체표준도 마련되면 VPP의 보급확산도 기대할 수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