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수능 국어·수학·영어 다 쉬워져…"최상위권 경쟁 치열해질 것"(종합)
평가원,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채점 결과
만점자 11명…최고표점 국어 11점, 수학 8점 하락
최고 표점 획득 응시생은 국어 16.5배, 수학 2.5배
사회탐구 9과목 중 6과목 표점 높아져 까다로웠다
결시율 12.8%…N수생 응시자 16만명, 20년새 최대
평가원 "난이도 잘 관리돼…내년에도 비슷하게 출제"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오승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이 5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채점 결과 등을 설명하고 있다. 왼쪽은 강태훈 채점위원장. 2024.12.05. [email protected]
5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이 공개한 2025학년도 수능 채점 결과에 따르면, 영역별 최고 표준점수는 국어 139점, 수학 140점으로 집계됐다. 표준점수는 시험이 쉬워 평균이 상승하면 하락하며 수능 난이도 척도도 된다.
지난해 수능과 견주면 국어는 11점, 수학은 8점 줄었다.
국어를 모두 맞히고 최고점을 얻은 응시생은 1055명으로 지난해 64명 대비 16.5배 늘었다. 현 수능 체제 도입인 2022학년도 이후 가장 많아 꽤 쉬운 시험이었다.
수학은 응시생 1522명이 모든 문제를 맞혀 표준점수 140점을 얻었다. 이들은 대부분 '미적분' 응시생으로 추정된다. '확률과 통계' 등 타 과목은 만점을 맞았어도 조정 표준점수 계산 방식 때문에 표준점수가 낮을 수 있다.
수학 최고 표준점수 만점자(1522명)도 지난해(612명)보다 2.5배 늘었다. 2022학년도 이후 2702명→934명→612명 등 감소해 왔다가 다시 1000명을 넘어선 것이다.
1등급 구분 표준점수는 국어와 수학 모두 131점이었다. 지난해 모두 133점이었고 모두 2점씩 각각 떨어졌다.
영어 영역은 2만8587명이 100점 만점에 90점 이상을 획득해 1등급을 받게 됐다. 전체 응시생 대비 6.22%다. 영어는 절대평가 영역으로 성적표에 등급만 통지된다.
영어 1등급 비율은 절대평가 도입(2018학년도) 이후 지난해가 4.71%로 가장 어려웠으며 2021학년도가 12.66%로 가장 쉬웠는데 중간 수준으로 적정 출제됐다.
사회탐구는 까다로웠고, 과학탐구는 다소 평이했다.
사회탐구 9과목 중 6과목의 최고 표준점수가 1년 전보다 올랐다. 가장 높은 생활과윤리는 77점으로 12점 치솟았다. 최고점이 가장 낮은 과목은 정치와법으로 66점이다.
[서울=뉴시스] 2025학년도 수능 채점 결과 영역별 최고 표준점수는 국어 139점, 수학 140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수능 대비 국어는 11점, 수학은 8점 낮아졌다. 국어를 모두 맞히고 최고점을 얻은 응시생은 1055명으로 지난해 64명 대비 16.5배 늘었다. (그래픽=안지혜 기자) [email protected]
올해 수능 응시자는 46만3486명으로 최종 집계됐다. 지원자(52만2670명) 중 5만9184명(12.8%)가 결시했다.
응시자 중 고3 재학생이 30만2589명(65.9%), 졸업생과 검정고시 합격자 등 'N수생'은 16만897명(34.7%)이었다. 지난해보다 각각 1만5087명, 3529명 늘어났다.
N수생 응시자는 2006학년도 이래 20년 만에 최고치다.
국·영·수 모두 지난해보다 쉬웠던 가운데 N수생이 늘었고, 의대 등 수험생 선호 학과의 모집인원이 크게 늘면서 대학은 최상위권 변별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만점자~1등급 표준점수차는 국어가 8점차, 수학은 9점차로 나타났다. 지난해 국어는 17점차, 수학은 15점차였다. 이 차이가 크고, 점수대별로 응시생이 빠짐 없이 배치될수록 대학이 표준점수를 통해 상위권을 변별하기 쉽다.
이를 두고 일부 전문가는 '변별력이 반토막 났다'고 평한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국어와 수학 모두 지난해보다 변별력이 크게 약화했다"며 "의과대학 모집인원 확대 속 최상위권 정시 경쟁이 치열해질 것"이라고 관측했다.
다만 오승걸 평가원장은 이날 세종 교육부에서 채점 결과를 발표한 후 "국어와 수학의 영역별 만점자 비율은 각각 0.2%, 0.3% 정도"라며 "영어도 적당하게 6.2%가 1등급 비율이기 때문에 과목들을 조합하면 의대생 모집인원이 늘었다 하더라도 충분히 변별력을 확보했다"고 했다.
영어 1등급 비율이 다소 늘어나면서 수시 전형 탈락자는 다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수시 일부 전형에서는 영역 몇 개의 등급을 합한 숫자로 최저학력기준을 판정한다.
이만기 유웨이 교육평가연구소장은 "최상위권에서 수시 수능 최저학력기준 충족자는 증가할 전망"이라면서도 "3등급 누적 비율이 다소 낮아져(46.84%→43.94%) 중상위권 변별력은 다소 높아졌다. 중상위권 대학에 지원한 수험생들의 경우 변수가 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서울=뉴시스] 2025학년도 수능 채점 결과1등급 구분 표준점수는 국어와 수학 모두 131점이었다. 지난해 모두 133점이었고 모두 2점씩 각각 떨어졌다. 영어 영역은 2만8587명이 100점 만점에 90점 이상을 획득해 1등급을 받게 됐다. (그래픽=안지혜 기자) [email protected]
이 소장은 "수학 표준점수 최고점이 국어에 비해 높게 나타났지만 국·수 영역 간 영향력의 차이나 유·불리 현상은 축소될 전망"이라며 "그 틈새를 어렵게 출제된 탐구영역이 들어가 변별의 도구로 쓰일 것"이라고 관측했다.
임 대표도 "각 대학별 탐구 영역 표준점수 발표 상황에 따른 유불리 대학 파악이 중요하겠다"고 내다봤다.
출제진이 소위 '사탐런' 때문에 탐구 영역, 특히 사회탐구의 상위권 변별력을 높이려 한 것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탐구 영역은 계열 구분 없이 1개 또는 2개 과목을 응시할 수 있다. 사회와 과학을 하나씩 섞어서 2개 치른 수험생은 매년 1만명대 수준이었는데 올해는 4만7723명으로 약 3배 늘어났다. 정부의 전공자율선택제 확대 정책 기조로 대학이 수능 응시제한 빗장을 푼 영향으로 풀이된다.
수능 채점위원장 강태훈 성신여대 교수는 "난이도 관리가 원만하게 잘 이뤄졌다"라며 "내년에도 올해 난이도와 준하는 정도로 출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오 평가원장도 "'학교 재학생들이 학교 교육에 충실히 임하면 이렇게 충분히 풀 수 있는 문제로 출제한다' 이런 기조는 일관되게 유지하고, 유지해 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수능 성적 통지표는 오는 6일 오전 수험생들에게 배부된다. 수험표는 고등학교 등 원서 접수처에서 받을 수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