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임신 성공률 높인다"…의료기기 10대과제 성과보고
식약처·과기부·산업부·복지부 등 4개 부처성과보고회 열어
녹내장 안압 실시간 모니터링 스마트 콘택트렌즈 개발 등
"R&D 지원, 의료기기 발전 견인…국민 체감성과 지속"
![[서울=뉴시스] 11일 정부는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YTN 뉴스퀘어 미디어홀에서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의 2025년 10대 대표과제 성과보고회를 열었다. 사진은 리센스메디컬이 개발한 세계 최초 안과 급속냉각 마취기기. (사진=리센스메디컬 제공) 2025.02.1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2/11/NISI20250211_0001767070_web.jpg?rnd=20250211074633)
[서울=뉴시스] 11일 정부는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YTN 뉴스퀘어 미디어홀에서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의 2025년 10대 대표과제 성과보고회를 열었다. 사진은 리센스메디컬이 개발한 세계 최초 안과 급속냉각 마취기기. (사진=리센스메디컬 제공) 2025.02.11.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송종호 기자 = 국내 기업이 난임 등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배아 발달상황 및 임신 가능성을 예측하는 인공지능(AI) 솔루션 개발했다. 또한 세계 최초로 안압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스마트 콘택트렌즈도 한국에서 탄생했다.
11일 정부는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YTN 뉴스퀘어 미디어홀에서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의 2025년 10대 대표과제 성과보고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통상자원부·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공동으로 지원한다. 2020년부터 올해까지 6년간 총 1조 2000억원을 투입해 의료기기 기술개발부터 임상·인허가 및 제품화에 이르는 전주기를 지원하는 대형 연구개발(R&D) 사업이다.
올해로 3회를 맞은 성과보고회는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을 통해 지원받은 연구과제 중 우수한 성과를 창출한 과제들을 표창하고 주요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다.
올해 선정된 10대 대표 과제는 3대 핵심지표인 ▲연구개발 수행의 적절성 ▲기술·의료 분야의 파급효과 ▲사회·경제 분야의 파급효과를 기준으로 46개 기업에서 제출한 성과 중 혁신성과 성과 창출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선정됐다.
주요 과제에는 ▲췌장암 항암제 전달 효과 향상이 가능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기 ▲국내 최초 현장진료에 적합한 이동형 토모신세시스(X선 기반 3D 영상촬영장치) ▲세계 최초 심근치료용 최소침습형 카테터 ▲완전자동화 인공지능 세포분석 암 진단기기 ▲인공지능 기반 패치형 웨어러블 심장질환 관리시스템 ▲세계 최초 안과 급속냉각 마취기기 ▲뇌질환 환자 맞춤형 난치성 시각장애 디지털 치료기기 ▲경도인지장애 개선을 위한 환자 맞춤형 디지털 치료기기 ▲녹내장 안압 실시간 모니터링 스마트 콘택트렌즈 ▲난임치료 성공률 향상을 위한 인공지능 배아분석 디지털 치료기기 등이 포함됐다.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은 성과보고회 이후 내달 20일부터 23일까지 열리는 제40회 국제의료기기·병원설비 전시회(KIMES 2025)에 10대 대표과제 홍보 부스를 설치하고, 성과 포스터 및 장비 등을 전시해 의료기기 관계자들에게 제품 시연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지난해 3월 선정된 2024년 10대 대표과제 중 국내 최초로 개발된 혈액투석 의료기기는 일반 환자를 대상으로 성공적인 치료를 수행하는 등 뛰어난 성과를 창출한 만큼 올해 선정된 10대 대표과제도 의료기기 국산화와 글로벌 시장 진출을 촉진하고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법민 단장은 "이번 10대 대표과제는 범부처와 사업단의 밀접한 협력을 통해 사회문제 해결 및 글로벌 시장 선도를 목표로 개발된 혁신적인 의료기기들이 선정됐다"라고 말했다.
정부는 제품 상용화는 물론 이후에도 수출 등 활성화를 위한 지원을 계속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의료기기는 단순 제품을 넘어 국민의 건강과 생명에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로, 그 발전이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라며 "정부의 R&D 지원이 의료기기 산업 발전을 견인하는 것과 더불어 국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