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국내은행 당기순이익 22.4조…전년比 5.5%↑

등록 2025.03.14 06:00:00수정 2025.03.14 07:32: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금감원 '2024년 국내은행 영업실적' 발표

[서울=뉴시스]박미소 기자 =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금융감독원. 2020.01.16. misocamera@newsis.com

[서울=뉴시스]박미소 기자 =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금융감독원. 2020.01.16.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박주연 기자 = 지난해 국내은행의 순이익이 22조400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전년(21조2000억원)에 비해 5.5%(1조2000억원) 증가한 수치다.

금융감독원은 14일 이같은 내용의 '2024년 국내은행 영업실적(잠정)'을 발표했다.

일반은행(시중·지방·인터넷은행)과 특수은행 등 국내은행들은 지난해 22조4000억의 순이익을 거뒀다. 시중은행이 13조원, 지방은행이 1조3000억원, 인터넷은행이 6000억원, 특수은행이 7조5000억원의 순이익을 각각 냈다.

주가연계증권(ELS) 배상비용(1조4000억원) 등에 따른 영업외손실 확대에도 불구하고 대손비용(-3조1000억원)이 감소하며 순이익이 늘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기준 국내은행 총자산순이익률(ROA)은 0.58%로 전년(0.58%)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자기자본순이익률(ROE)은 7.80%로 전년(7.88%) 대비 0.08%p 하락했다.
2024년 국내은행 영업실적(잠정). (자료=금융감독원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2024년 국내은행 영업실적(잠정). (자료=금융감독원 제공)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지난해 국내은행의 이자이익은 59조3000억원으로, 전년(59조2000억원)에 비해 0.2%(1000억원) 증가했다. 이자수익자산 증가(+140.1조원, +4.4%) 등의 영향이다.

다만 이자이익 증가율은 전년 대비 크게 둔화됐다.

국내은행들의 이자이익 증가율은 2022년 21.6%에서 2023년 5.8%, 2024년 0.2%로 가파른 감소세를 보였다. 순이자마진(NIM) 역시 2022년4분기를 고점으로 축소 추세다.

지난해 국내은행 비이자이익은 6조원으로 전년(5조8000억원)에 비해 2.9%(2000억원) 늘었다. 전체 비이자이익 중 유가증권매매이익 등 유가증권 관련 이익이 5조8000억원을 차지했다.

판매관리비는 27조400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전년(26조5000억원)에 비해 3.2%(9000억원) 증가한 수치다. 인건비(16조5000억원)와 물건비(10조9000억원)이 전년 대비 각각 6000억원, 2000억원 늘었다.

대손비용은 6조9000억원으로 전년(10조원)에 비해 30.9%(3조1000억원) 감소했다. 2023년에 대손충당금 산정방식이 개선되며 은행들이 대손충당금을 추가 적립한 데 따른 기저효과다.

금감원은 "올해는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심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취약부문 중심의 신용리스크 확대 우려도 지속되고 있다"며 "위기가 커져도 은행이 본연의 자금중개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지속적으로 유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