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금융당국, MBK·홈플러스 사태 조만간 檢 이첩…패스트트랙 활용

등록 2025.04.16 09:51:58수정 2025.04.16 10:02: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금융당국, MBK·홈플러스 사태 조만간 檢 이첩…패스트트랙 활용


[서울=뉴시스]우연수 기자 = 금융당국이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 경영진에 대한 사기적 부정거래 조사 결과를 패스트트랙으로 조만간 검찰에 이첩할 것으로 보인다.

15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 경영진의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 조사 건을 검찰에 이첩하는 것을 실무적으로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금감원 조사 중 검찰의 수사가 긴급히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엔 패스트트랙 제도를 활용해 증권선물위원회 심의를 생략하고 증권선물위원장 의결로 검찰에 바로 통보할 수 있다. 금감원은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가 홈플러스의 신용등급 강등 가능성을 사전에 인지하고도 채권을 발행한 정황이 있다고 보고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를 조사해왔다.

이미 서울중앙지검이 관련 사건을 수사 중이기 때문에 금감원과 금융위가 따로 강제조사권을 발동해 공동 조사에 착수하기보단 그간 조사한 내용을 신속히 검찰이 이첩하는 쪽으로 무게가 실린 것으로 파악된다.

홈플러스 채권을 발행하고 판매한 신영증권, 하나증권, 현대차증권, 유진투자증권 4개 증권사가 홈플러스 경영진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사기) 등 혐의로 고소해 서울중앙지검이 이달 초 수사에 착수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최근 기자들을 만나 MBK·홈플러스 사태에 대해 "이달 중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절차를 밝겠다"고 말한 바 있다.

또 지난 1일 함용일 금감원 부원장은 "신용평가 하향 인지 가능성을 언제 알았는지, 회생 절차를 언제부터 기획하고 실제 신청했는지 등과 관련해 MBK의 해명과 다른 정황이 발견되고 있다"며 "만약 그렇다면 사기적 부정거래로 성립시킬 수 있을 것인지가 과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홈플러스는 신용등급 하락 가능성을 인지하고 회생 신청 계획까지 세워둔 상태에서 채권을 발행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다. 지난달 3일 기준 홈플러스의 기업어음(CP)·자산유동화전자단기사채 등 단기채권 판매 잔액은 5949억원으로 파악된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검찰 이첩과 관련해 "아직 결정된 건 없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