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광기와 유머, 우울과 행복…인간 내면 탐구한 '워킹 매드&블리스'[객석에서]

등록 2025.05.17 14: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현대무용의 시인' 요한 잉거 作…서울시발레단 아시아 초연

워킹 매드, 인간의 광기·어리석음, 블리스는 기쁨·행복 그려

핵심 오브제 벽 활용법·라벨의 '볼레로' 등 음악 선곡 돋보여

[서울=뉴시스]서울시발레단 '워킹 매드' 공연 (사진=세종문화회관 제공)

[서울=뉴시스]서울시발레단 '워킹 매드' 공연 (사진=세종문화회관 제공)

[서울=뉴시스] 최희정 기자 = 막이 오르자 커다란 벽이 있고 그 앞에 서있던 여성이 광란의 춤을 춘다. 곧이어 고깔을 쓴 남성들이 여성을 잡으러 뛰어다니고, 이들 중 한 무용수는 우스꽝스러운 춤을 춘다.

스웨덴 출신의 요한 잉거(58)가 안무한 서울시발레단의 '워킹 매드(Walking Mad) & 블리스(Bliss)'가 15일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에서 인간 내면을 보여주는 몸짓으로 관객들의 이목을 사로잡았다.

잉거는 2016년 무용계의 아카데미상이라 불리는 '브누아 드 라 당스' 최우수 안무상을 받은 세계적인 안무가다. 한국에서 아시아 최초로 '워킹 매드'와 '블리스' 두 작품을 무대에 올렸다.

워킹 매드는 '미쳐서 걷는다'라는 뜻으로, 인간의 광기와 내면을 그려낸다.
[서울=뉴시스]서울시발레단 '워킹 매드' 공연 (사진=세종문화회관 제공)

[서울=뉴시스]서울시발레단 '워킹 매드' 공연 (사진=세종문화회관 제공)


'현대무용의 시인'으로 불리는 잉거는 앞서 진행된 지난 7일 기자간담회에서 "워킹 매드는 사람이 약간 이성을 잃었을 때, 그리고 바보 같을 정도로 우스꽝스러운 면들이 아닐까 한다"며 "인간이 세상 여정 속에서 생각지 못한 것을 마주하게 됐을 때 미칠 수도 있을 건데, 내가 갖고 있는 우스꽝스러움, 어리석음을 표현하려고 했다"고 설명했다.

워킹 매드의 주요 오브제인 거대한 벽, 그리고 무용수들이 소리를 지르며 뛰어다니는 장면은 흡사 연극을 보는 듯하다.

잉거는 무대에 등장하는 벽이 '여정 속의 역경'을 표현한다며, 작품에서 무용수만큼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도 했다.

무대가 인간의 내면을 드러낸다면 벽은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를 보여준다.

[서울=뉴시스]서울시발레단 '워킹 매드' 공연 (사진=세종문화회관 제공)

[서울=뉴시스]서울시발레단 '워킹 매드' 공연 (사진=세종문화회관 제공)


무용수들은 벽 앞, 혹은 벽 주변을 맴돌며 춤을 춘다. 심지어 벽을 밟고 아슬아슬하게 올라서 있다 그 뒤로 넘어가기도 했다.

그러나 벽은 사라지지 않고, 벽 주변을 무용수들이 끊임없이 맴돈다.

귀에 익은 모리스 라벨의 '볼레로'가 공연 내내 깔린다. 볼레로의 반복되는 선율은 점차 격렬해지는 무용수들의 움직임과 함께 긴장감을 끌어올린다.

볼레로가 끝나면 에스토니아 작곡가 아르보 패르트의 '알리나를 위하여'가 울려 퍼진다. '알리나를 위하여'는 단순하고 명상적인 선율로 구성된 곡이다.

[서울=뉴시스]서울시발레단 '블리스' 공연 (사진=세종문화회관 제공)

[서울=뉴시스]서울시발레단 '블리스' 공연 (사진=세종문화회관 제공)

연인처럼 보이는 남성과 여성은 몸짓으로 갈등과 이별을 표현한다. 밀고 당기기를 하던 남성이 벽위로 올라서 있다가 넘어가면서 작품은 막을 내린다.

두 번째 무대에 오른 '블리스'는 '워킹 매드'와 상반된 느낌이다. '더 없는 행복'이란 뜻의 블리스는 무용수가 무대 위에서 춤추는 행복과 황홀한 감정, 더할 나위 없는 기쁨을 표현했다.

이 작품에서 역시 음악의 역할은 지대했다.

미국 재즈 피아니스트 키스 재럿이 1975년 독일 쾰른 오페라하우스에서 즉흥 연주했던 실황을 녹음한 곡을 사용했다. 당시 공연하기 최악의 조건에서 재럿이 즉흥적으로 연주한 것이지만, 오늘날 명작으로 남았다.

[서울=뉴시스]서울시발레단 '블리스' 공연 (사진=세종문화회관 제공)

[서울=뉴시스]서울시발레단 '블리스' 공연 (사진=세종문화회관 제공)

마치 키스 재럿이 피아노 연주를 할 때 옆에서 무용수들이 춤을 추는 것처럼, 음악과 몸짓이 혼연일체가 된 무대를 보여준다.

잉거는 블리스에 대해 "더할 나위 없는 기쁨을 느끼는 우리의 상태를 표현하고자 했다"며 "무용수들이 춤을 추고 있는 그 순간, 이를 보고 듣는 관객들 앞에서 춤을 출 수 있다는 그 자체에 대한 기쁨을 순수하게 그대로 표현했다"고 말했다.

무용수들은 신나게 뛰어다니고, 상대방의 몸을 들어올리기도 한다.

십 수명이 한꺼번에 나와 군무를 추지만 한 명씩 번갈아가며 바보같고 우스꽝스러운 독무를 춘다.

[서울=뉴시스]서울시발레단 '블리스' 공연 (사진=세종문화회관 제공)

[서울=뉴시스]서울시발레단 '블리스' 공연 (사진=세종문화회관 제공)

워킹 매드에서 우스꽝스러운 춤이 광기로 발전했다면, 블리스에서는 행복감으로 확산한다.

공연은 오는 18일까지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에서 이어진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