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연구실부터 제조현장까지"…산업부, AI·로봇 공동 활용 인프라 구축

등록 2025.06.10 11: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첨단산업 AI 융합 공동활용 인프라 공모

기술개발 지원 연계한 사업화 성과 창출

[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14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국제인공지능대전에서 마음 AI 부스에서 관계자가 다양한 AI 로봇을 소개하고 있다. 2025.05.14. bluesoda@newsis.com

[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14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국제인공지능대전에서 마음 AI 부스에서 관계자가 다양한 AI 로봇을 소개하고 있다. 2025.05.14.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김동현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는 자율실험실, 휴머노이드 로봇, 자율제조 등 산업 인공지능(AI) 기술 개발과 확산을 위한 공동활용 인프라 구축 과제의 공모를 실시한다고 10일 밝혔다.

과제들은 중소·중견기업이 기술개발과 사업화 과정에서 단독으로 구축하기 어려운 시설·장비를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과제당 최대 5년간 국비 100억원을 지원하는 산업혁신기반구축 사업으로 지원된다.

먼저 AI, 로봇, 자동화 기술을 접목해 실험의 기획부터, 실행, 분석, 최적화까지 전 주기 자율화된 실험실(Autonomous Lab)을 구축한다.

대규모 실험 데이터를 AI로 분석해 유망 실험 조건을 예측하고, 로봇 및 자동화 장비로 반복 실험을 수행해 결과를학습해 AI가 후속 실험을 스스로 설계해 최적 소재와 공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산업부는 실험실 구축 과제가 난이도가 높고 고도의 AI 전문성이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해 참여기관을 출연연, 대학 등 비영리기관으로 제한하지 않고 영리기관도 참여할 수 있도록 개방한다는 계획이다.

또 AI 기반 휴머노이드 로봇을 제조현장과 일상생활에 적용하기 위한 실증 환경을 구축하고, 휴머노이드 개발 및 활용 기업의 사업화를 지원한다.

휴머노이드 로봇의 핵심기술 개발에 필수적인 시뮬레이션 플랫폼도 구축하며, 산업표준 제정 등도 연계 지원해 신속한 사업화 성과 창출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AI 팩토리 등 산업부가 추진하는 제조AI와 연계해 자동차, 전자, 조선, 이차전지 등 주력 제조산업 현장에서 확보한 고품질 데이터와 기술 등을 기반으로 기업들의 AI 솔루션 개발을 위한 각종 도구들을 지원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기술의 신속한 사업화를 위해 공동활용 인프라 구축 과제에 선제적으로 투자하고 AI 기술 발전 속도와 산업 수요를 고려해 일반적인 산업혁신기반구축 사업의 과제수행 기간인 5년보다 짧은 기간에 과제를 완료하는 방안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자율실험, 휴머노이드 로봇, 자율제조는 산업부문 AI 대전환의 핵심과제"라며 "차세대 첨단기술 개발과 시장성과 창출을 앞당기기 위해 기존 틀에서 벗어나 현장의 수요에 맞는 유연하고 신속한 투자를 추진하겠다"고 전했다.
【세종=뉴시스】세종시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2019.09.03. ppkjm@newsis.com

【세종=뉴시스】세종시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2019.09.03. [email protected]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