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불붙는 'AI 인재' 확보 경쟁…정부, 국내 인재 양성·지원 나서

등록 2024.05.17 15:00:00수정 2024.05.17 18:00: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AI·디지털인재 얼라이언스 운영위원회' 개최

AI 핵심인재 양성 방안 등 산·학·연 의견 수렴

불붙는 'AI 인재' 확보 경쟁…정부, 국내 인재 양성·지원 나서

[서울=뉴시스]윤현성 기자 = 정부가 AI(인공지능), 디지털 분야 핵심인재 양성을 위한 방안을 본격적으로 찾아나선다. 특히 최근 전 세계적으로 AI 인재 확보 경쟁에 불이 붙고 있는 만큼 국내 AI 인재풀을 확대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을 발굴해나간다는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AI·디지털인재 얼라이언스는 17일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 연수센터에서 'AI·디지털인재 얼라이언스 운영위원회'를 개최했다.

디지털인재 얼라이언스는 2022년부터 디지털인재 양성 지원을 위한 민·관 협업과 소통의 장으로 역할을 해왔다. 이에 더해 지난 4월에 출범한 'AI전략최고위협의회'의 인재분과를 담당하게 되면서 조직을 AI·디지털인재 얼라이언스 운영위원회로 개편하게 됐다. 향후 AI·디지털 인재양성 정책 전반에 대한 산·학·연 운영위원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장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최근 세계 각국의 AI 인재 확보 경쟁이 격화되고 생성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번 운영위원회에서는 AI 핵심인재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는 상황에서 향후 우리의 대응방향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먼저 '국내 AI인재 이동 관련 동향과 시사점'을 주제로 발제를 맡은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조원영 실장은 최근 발표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스탠포드대 연구소(HAI연구소) 등에서 발표된 글로벌 AI 인재 이동 관련 지표들의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한 시사점 등을 언급했다.

이어 국내 AI 핵심인재 양성과 확보를 위해 어떠한 정책방향을 갖고 추진해야 되는지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특히 가장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는 AI 분야의 박사후 연구자, 신진연구자 등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 국내 AI인재의 저변을 확충하기 위한 방안, 글로벌 공동연구 및 해외 석학 유치 등을 위한 방안 등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운영위원회에 참석한 과기정통부 황규철 소프트웨어정책관은 "이제 AI인재 확보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국가 간 경쟁으로 격화되고 있다"며 "전문가들의 의견을 경청해 새로운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고 한계를 정하지 않는 혁신을 꿈꾸는 인재 양성을 목표로 AI 연구자 중심의 지원을 강화하고, 산·학 협력, 학제 간 융합이 촉진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서정연 얼라이언스 위원장은 "AI 기술이 급변하면서 국내 AI 인재 양성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는 만큼 고성능 컴퓨팅 자원 구축 등 세계적 수준의 지원이 중요하다"며 "AI 인재들이 국내·외에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민·관 협의체인 얼라이언스의 적극적인 활동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