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공감의 비극·자유주의 이전의 민주주의
![[서울=뉴시스] '공감의 비극'. (사진=인물과사상사 제공) 2023.03.2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image.newsis.com/2023/03/20/NISI20230320_0001221468_web.jpg?rnd=20230320164933)
[서울=뉴시스] '공감의 비극'. (사진=인물과사상사 제공) 2023.03.2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강준만 전북대 신문방송학과 명예교수는 책 '공감의 비극'(인물과사상사)에서 선택적 과잉 공감의 문제점을 짚었다. 선택적 과잉 공감은 자기 성찰의 의지와 능력이 전혀 없는 가운데, 내로남불을 상습적으로 저지르는 집단이 자신들은 천사로 여기고 그 반대편은 악마로 몰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서울=뉴시스] '자유주의 이전의 민주주의'. (사진=후마니타스 제공) 2023.03.2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image.newsis.com/2023/03/20/NISI20230320_0001221489_web.jpg?rnd=20230320170122)
[서울=뉴시스] '자유주의 이전의 민주주의'. (사진=후마니타스 제공) 2023.03.2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오늘날 현대사회에서 민주주의는 어떤 정치적 권위체의 정당성을 보증하는 명칭으로 자리잡았다. 자유주의 이전의 민주주의는 어떤 의미였고, 그 민주주의는 오늘날 우리의 삶에 어떤 결과를 가져왔을까?
조사이아 오버 미국 스탠퍼드대학 정치학과 교수는 책 '자유주의 이전의 민주주의'(후마니타스)에서 역사와 정치 이론의 결합을 통해 '시민들의 집단적이고 제한된 자기 통치'라는 민주주의의 핵심 의미를 복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now@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