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작년 장애인 고용률 3.17%…자치단체 5.9%로 가장 높아

등록 2024.05.23 12:00:00수정 2024.05.23 14:42:5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고용부, '2023년 장애인 의무고용현황' 발표

전체평균 3.17%로 전년 3.12%에서 소폭증가

공무원 고용률 2.86%로 의무고용률보다 낮아

[서울=뉴시스]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지난달 26일 서울 영등포구 한화생명보험에서 열린 장애인 고용컨설팅 우수기업 현장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고용노동부 제공) 2024.04.26.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지난달 26일 서울 영등포구 한화생명보험에서 열린 장애인 고용컨설팅 우수기업 현장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고용노동부 제공) 2024.04.26.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권신혁 기자 = 지난 10년간 장애인 고용률이 지속 상승하는 가운데, 지난해 전체 장애인 고용률이 3.17%로 나타났다. 공공부문 중 지방자치단체의 고용률이 5.9%로 가장 높았고, 교육청은 2.51%로 가장 낮았다.

고용노동부는 23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3년 장애인 의무고용현황'을 발표했다.

고용부에 따르면, 지난해 장애인 고용율은 전체평균 3.17%이었다. 공공은 3.86%, 민간 2.99%로 파악됐다. 전체평균은 전년도 3.12%에서 소폭상승했으며 2014년부터 10년 간 장애인 고용률은 계속해서 상승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공공부문의 상승률이 민간보다 높았는데, 그 중 지방자치단체의 고용률이 5.9%로 가장 높았다. 공공기관(3.90%), 중앙행정기관(3.43%), 헌법기관(2.86%), 교육청(2.51%)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고용부는 "자치단체의 경우 일자리 사업에 장애인을 적극 채용한 점, 공공기관은 '장애인 고용현황 공시 의무화' 등이 이 같은 결과에 기여한 것으로 보여진다"고 설명했다.

공공부문 중 공공기관을 제외한 정부부문에서는 비공무원이 6.14%로 의무고용률인 3.6%을 크게 상회했다. 반면 공무원은 2.86%로 의무고용률보다 낮았다.

고용부는 이에 대해 "공무원의 경우 교원, 군무원 등 장애인 채용여건이 어려운 특정직 공무원이 많아 낮게 나왔다"라고 말했다.

한편 민간기업의 지난해 장애인 고용률은 2.99%로 전년 2.91%에서 소폭 상승했다. 장애인 고용인원은 21만5195명이며 500인 이상 기업이 10만9703명으로 절반 가량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임영미 고용부 통합고용정책국장은 "공공부문은 의무고용률을 상회하나 상대적으로 장애인 고용이 쉽지 않은 분야에 대해서는 관계부처 등과 전담팀을 구성해 고용률을 높이도록 독려할 것"이라며 "중증장애인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하는 자회사형 표준사업장 설립규제를 완화해 일자리 확대를 위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