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농식품부, 8월부터 우유 원유가격 연동제 시행

등록 2013.06.07 11:41:11수정 2016.12.28 07:34:3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출금//첨부용**낙농산업 선진화 대책

【세종=뉴시스】이혜원 기자 = 정부가 오는 8월부터 우유 원유(原乳)가격 연동제를 실시하기로 했다. 더불어 차상위계층의 우유급식을 중·고등학교까지 늘리기로 했다.

 7일 농림축산식품부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낙농산업 선진화 대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이같은 대책을 통해 연간 두당 산유량을 오는 2010년까지 10%(9786㎏)이상 늘리고, 유제품 수출은 3억8000만 달러 늘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우선 농식품부는 원유가격을 결정할 때마다 낙농가와 유업체사이에 반복되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원유가격 연동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종전에는 우유생산비의 변동률이 5% 이상 차이가 날 때 원유가격을 조정했기 때문에 3~4년 주기로 낙농가와 유업체는 갈등을 겪었다.

 농식품부는 매년 통계청의 우유생산비 증감액을 반영한 기준원가에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반영한 변동원가를 더해 매년 8월 원유기본가격 조정에 활용하기로 했다. 내년 8월에 원유기본가격을 조정한다.



 더불어 원유가격 산정체계에 유단백질을 새로 만들기로 했다. 저지방·고단백 우유를 선호하는 소비자 기호를 반영했다고 농식품부는 설명했다.

 계절적인 수급불균형을 줄이기 위해서는 전국단위의 수급조절제와 가공원료류 지원사업을 시행하기로 했다. 

 비수기인 동절기에 생산량이 증가하고 성수기인 하절기에 생산량이 감소하는 젖소의 특성으로 계절적인 수급불균형이 반복돼 왔다.

낙농산업 선진화 대책

 이에 정부는 성수기에 생산을 늘리는 농가에 지원을 확대하고 비수기 잉여 원유를 가공원료유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안정적인 수급을 위해 자율적인 총 생산궈터를 211만t으로 설정하고 원유거래 기준을 마련하기로 했다.

 장기적으로는 생산자-수요자-소비자 등이 참여하는 '수급조절협의회'를 운영하여 자율적인 수급관리체계를 구축키로 했다.

 낙농산업의 생산성을 늘리고 소비기반 확대를 위해서는 ▲신규·후계농가 대상 납유권임대제도 ▲육성우 전문목장 조성사업 ▲수출확대를 위한 유제품 공동 마케팅 ▲학교 우유급식 확대 등의 정책을 내놓았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러한 노력이 결실을 맺게 된다면 우리 낙농산업은 자유무역협정(FTA) 등 시장개방 확대 등에도 경쟁력을 갖추고 성장하는 산업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jaelee@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