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2030 여성 피임률 절반 넘어…중장년은 4명 중 1명만
보사연, 여성 성·생식 건강조사 기반 보고서 발간
중장년 여성 3분의 2 "완경 등으로 피임 필요 無"
피임 실패율 높은 월경주기 사용법·질외사정 높아
![[서울=뉴시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7월호 '여성의 피임 실천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실린 지난 1년간 성관계 경험이 있는 여성의 생애주기별 피임 빈도. (자료=보건복지포럼 발췌) 2023.07.3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3/07/31/NISI20230731_0001328961_web.jpg?rnd=20230731111630)
[서울=뉴시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7월호 '여성의 피임 실천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실린 지난 1년간 성관계 경험이 있는 여성의 생애주기별 피임 빈도. (자료=보건복지포럼 발췌) 2023.07.3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이연희 기자 = 10대 청소년과 20·30대 여성은 절반 이상이 성관계 시 항상 피임을 하는 반면 중장년 여성의 경우 4명 중 1명만 피임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이 발간한 '보건복지포럼' 7월호에 실린 '여성의 피임 실천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년간 성관계 경험이 있는 여성 중 '성관계 시 항상 피임을 한다'고 응답한 사람은 연령대별로 13~18세 청소년은 54.6%, 19~39세 성인은 52.2%였지만 40~64세 중장년은 25.4%에 불과했다.
이번 보고서는 지난해 수행된 '한국 여성의 생애주기별 성·생식 건강조사'를 기반으로 이뤄졌다. 피임을 전혀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10.4%, 19~39세 25.7%, 중장년 66.6%, 노인 100%가 지난 1년간 성관계 시 피임을 전혀 하지 않았다고 답변했다.
지난 1년간 피임을 항상 하지 않은 이유를 중복으로 물은 결과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19~39세 성인의 경우 40.7%는 '피임도구 사용이 불편해서', 39.1%는 '임신이 쉽게 될 것 같지 않아서' 두 가지 응답이 가장 많았다. 28.5%는 '내가 혹은 성관계 상대가 피임 도구를 준비하지 못해서', 25.8%는 '내가 임신을 원해서' 24.1%는 '성관계 상대가 피임을 원하지 않아서' 피임을 항상 하진 않았다고 답했다.
중장년의 경우 약 3분의 2인 63.9%, 노인 88.4%는 '난임·완경 등 피임할 필요가 없어서'라고 응답했다.
지난 1년간 사용한 피임방법을 묻는 문항에 '콘돔'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청소년 85.3%, 19~39세 성인 62.3%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질외사정은 청소년 64%, 19~39세 성인 60%로 조사됐다. 월경주기 활용 피임은 청소년 42.7%, 19~39세 성인 36.6%로 나타났다.
반면 중장년의 경우 질외사정이 45.6%로 가장 많고 월경주기가 36%, 콘돔이 29.8% 순이었다. 경구피임약의 경우 청소년 13.3%, 19~39세 성인 17.1%, 중장년 5.2%가 사용해 상대적으로 적은 여성이 사용했다.
질병관리청의 국가건강정보포털에 따르면 주요 피임 방법에 따른 실패율은 월경주기 사용법이 9~25.3%로 가장 높고 질외사정 4~18.4%, 남성용 콘돔은 2~17.4% 순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를 작성한 전진아 보사연 연구위원은 "의도하지 않은 임신과 성매개질환으로부터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안전하고 효과적인 피임 방법을 실천하는 것이 여성 건강 및 성·생식 건강의 중요한 영역"이라며 "청소년기부터 노년기에 이르기까지의 성매개질환 감염 예방을 포함하는 건강한 성생활, 피임에서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관심으로 범위를 보다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dyhlee@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