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반도체 무관세' 뒤집을까…"美 기업도 큰 피해"
미국 '반도체 관세'…누구도 승자 없어
美 마이크론도 해외공장 대부분, 관세 영향권
빅테크들 관세 부과로 메모리 가격 인상 바라지 않아
트럼프 '반도체 관세' 상대적으로 가능성 낮아
![[워싱턴=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 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행정명령 서명 중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5.02.11.](https://img1.newsis.com/2025/02/11/NISI20250211_0000099564_web.jpg?rnd=20250211093825)
[워싱턴=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 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행정명령 서명 중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5.02.11.
특히 메모리 반도체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글로벌 시장 상당 부분을 점유하는 만큼 반도체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타격이 심각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반도체 수요가 워낙 많은 미국 빅테크 기업들도 트럼프 관세에 오히려 피해를 볼 수 있고, 미국 반도체 업체인 마이크론 역시 주 생산기지가 미국이 아닌 제3의 국가들이어서 '반도체 관세'의 당사자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0일(현지시간) 미국에 수입되는 모든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품에 25% 관세를 부과한다는 포고문에 서명하면서 "의약품과 자동차, 반도체 관세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반도체 수출액은 1419억 달러(약 206조원)로 이중 미국으로 수출하는 비중은 7.2%(14조8000억원) 수준이다.
반도체는 1997년 세계무역기구(WTO) 정보기술협정(ITA)에 따라 WTO 회원국들 간 무역에서 '무관세'를 적용하고 있다. 컴퓨터, 가전, 자동차, 로봇 등 다양한 품목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반도체에 관세가 부과되면 여러 산업군에서 가격 인상, 수요 침체 같은 역풍이 불 수 있다.
메모리 반도체의 경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전 세계 물량의 절반 이상을 생산하고 있다. 한국 업체들의 메모리 반도체 점유율은 D램 75.5%, 낸드플래시 55.8%에 달한다.
![[서울=뉴시스] 평택캠퍼스 반도체 생산라인. (사진=삼성전자 제공) 2022.09.07.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2/09/07/NISI20220907_0001080878_web.jpg?rnd=20220907163138)
[서울=뉴시스] 평택캠퍼스 반도체 생산라인. (사진=삼성전자 제공)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만약 트럼프 정부가 반도체에 관세를 부과한다면 미국 수요를 위한 현지 공장이 가장 확실한 대안이다.
현재 메모리 반도체 생산을 위해 미국 내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가동하고 있는 공장은 한 곳도 없다. 두 회사의 메모리 생산시설은 모두 한국과 중국에 있다.
단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공장을 운영하고 있고, 테일러에 또다른 공장을 짓고 있다. 하지만 이들 공장은 모두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이다.
SK하이닉스도 2027년 가동을 목표로 미국 인디애나주 웨스트라피엣에 고대역폭메모리(HBM) 패키징 공장을 짓고 있지만 메모리 공장은 아니다.
그러나 일부에선 트럼프 정부가 철강처럼 쉽사리 반도체에도 관세를 부과하지는 못할 것으로 본다.
만약 관세를 부과할 경우 반도체 가격이 올라갈 수 있고, 미국 내 빅테크들이 큰 피해를 볼 수 있어서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대체재가 없는 한국 메모리 업체들의 높은 점유율로 볼 때 한국 메모리의 수요처는 대부분 미국 빅테크 업체들인데, 빅테크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고율의 관세를 함부로 부과할 가능성은 극히 제한적"이라고 전망했다.
여기에 미국 메모리 업체인 마이크론의 주요 공장들이 대부분 대만, 일본, 싱가포르 등 해외에 있는 만큼 반도체 관세의 효과가 자국 반도체 기업에게 돌아가기 힘들다는 진단이다. 예컨대 반도체 관세는 마이크론 대만공장에서 들여오는 메모리에도 부과되기 때문에 제 살 깎아먹기식이라는 것이다.
김 연구원은 "글로벌 반도체 수요가 가장 큰 미국 시장에서 만약 반도체 관세로 메모리 공급 단가가 오를 경우 미국 기업들의 원성이 클 것"이라며 "이같은 큰 피해를 초래할 반도체 관세 부과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아 보인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