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KTX-1 기대수명 8년 앞으로…코레일, 정부에 교체비용 5조원 지원 촉구

등록 2025.02.16 06: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코레일, 요금인상 2011년 이후 동결…부채 21조원

국내 운영되는 KTX-1 46편성…전체 고속열차 54%

전액 코레일 부담시 안전투자 및 운임인상 현실화

[수원=뉴시스]강종민 기자 = 사진은 수원역에 정차하는 KTX-1 고속열차. 2025.02.15. ppkjm@newsis.com

[수원=뉴시스]강종민 기자 = 사진은 수원역에 정차하는 KTX-1 고속열차. 2025.02.15.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홍찬선 기자 = 2004년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던 KTX-1의 기대수명이 9년 앞으로 도래함에 따라 신규 차량의 도입 논의가 속도를 내야 한다는 주장이 일각에서 제기됐다.

다만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부채가 21조원이 넘으면서 정부가 재원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도 설득력을 걷고 있다.

16일 코레일에 따르면 국내에서 보유 중인 KTX-1의 기대수명은 30년으로 오는 2033년까지이다. 현재 국내에서 운영 중인 고속열차 86편 중 KTX-1이 46편성으로 절반 이상인 54%를 차지한다.

이에 따라 철도 업계에서는 대체 차량 발주와 제작 상황을 고려할 때 최종 운행까지 9년까지 기간이 소요될 수 있어 정부와 코레일이 재원 마련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서울=뉴시스]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KTX 보유현황. 2025.02.15. (사진=코레일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KTX 보유현황. 2025.02.15. (사진=코레일 제공)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KTX-1 46편 노후화…전량 교체에 5조원

KTX-1은 프랑스 2세대 TGV-Atlantique의 개량형 모델로 지난 2004년 고속철도 시대를 맞아 2003년 46편성이 국내에 도입됐다. 코레일이 운행하는 고속열차의 일일 운행 횟수는 299회로 이중 KTX-1의 운행 횟수는 179회로 전체 60%에 해당한다.

KTX-1의 기대수명은 앞으로 9년이 남아 있다. 다만 고속열차의 노후화로 인한 연간 유지보수 비용이 연일 증가하는 상황에서 대체열차를 도입해야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고속열차 유지보수 비용은 지난 2022년 1676억원에서, 2023년 1792억원, 지난해 1835억원이 사용됐고, 올해는 2377억원이 예상돼 KTX-1의 노후화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KTX-1의 대체차량으로는 국내 제작이 가능한 KTX-청룡(EMU320)이 예상된다. KTX-청룡은 지난해 5월 2편성이 도입돼 운행하고 있다.

특히 코레일은 KTX-1의 기대수명은 30년으로 가만할 때 예비타당성 신청과 발주계약, 차량 제작 및 인수까지 예상기간은 9년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여 현재 논의시점이 도래했다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지난 2023년 기준 고속열차의 량당 제작비는 55억원으로 16량을 1편성으로 제작 했을때 총 46편성의 교체비용은 4조원이 예상됐다. 그러나 열차제작 계약까지 상당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여 최종 제작비용에는 5조원이 예상된다.
[서울=뉴시스]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운영하는 KTX 운행노선 계획. 2025.02.15. (사진=코레일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운영하는 KTX 운행노선 계획. 2025.02.15. (사진=코레일 제공)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코레일 운임 11년 이후 동결, 부채만 21조원…KTX-1 교체 비용 정부 지원 촉구

코레일은 KTX-1의 대체 차량 도입에 대해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 특히 지난 2011년 이후 14년째 고속열차 운임을 동결하면서 코레일의 부채는 21조원(지난해 말 기준)으로 늘었다. 사실상 코레일의 부채가 증가하면서 KTX-1 교체 비용의 전액 부담은 부당하다는 게 철도업계의 설명인 것이다.

코레일이 운영하는 노선 24개 중 19개가 적자를 보고 있다. 이는 벽지노선 운행과 SR의 출범으로 영업적자가 확대돼 철도안전투자 확대 등에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여기에 지난해 한국전력에서 전기료 인상을 단행하면서 1만4000량(열차 칸) 중 디젤 230량을 제외한 대부분을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코레일의 입장에서는 부담은 더 클 수밖에 없다.

특히 한국철도공사법 12조에 따르면 "국가는 공사의 경영 안전 및 철도차량, 장비의 현대화를 위해 재정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면 이를 보조하거나 지원할 수 있다"고 명시돼 있다. 이에 코레일은 건설사업 개통에 필요한 철도차량 구입 지원 50%를 정부가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KTX-1의 교체비용을 전액 코레일이 부담하면 철도안전투자 및 운임인상이 현실화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진우 카이스트 건설 및 환경공학과 교수는 "KTX-1의 교체 비용을 공사채를 발행해 코레일이 지출한다면 부채율이 높은 입장에서는 철도 안전등 시설 전반의 투자를 제때 진행할 수 없어 서비스 품질 저하로 나타날 수밖에 없다"면서 "정부 지원이나 요금인상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