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홈플 의혹 살핀다…신영證·신평사 2곳 검사 착수
CP·전단채 인수 증권사
홈플러스 신용등급 'A3-'로 내린 한신평·한기평
"신용등급 강등 예상 못했다" MBK 주장 살필듯

[서울=뉴시스]우연수 기자 = 금융감독원이 홈플러스 기업회생 신청 관련 의혹들을 살피기 위해 13일 신영증권과 신용평가사 2곳에 대해 검사에 착수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이날 '기업·주주 상생의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열린 토론회'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전자단기채 판매나 세일즈 앤 리스백(sales&lease back) 과정 중 리테일로 떨어진 것에 대해 저희가 감독 기관으로서 해야 하는 것들을 해야 한다"며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의 검사는 불가피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 원장의 발언 직후 금감원은 즉시 관련 증권사와 신용평가사에 대한 검사에 착수했다.
우선 신영증권은 홈플러스 기업어음(CP), 전자단기사채 등을 인수한 증권사다. 특히 신영증권은 특수목적법인(SPC) 에스와이플러스제일차, 에스와이플러스제이차를 설립해 카드사로부터 인수한 홈플러스 카드매입채권을 기초자산으로 ABSTB를 발행해 왔다. 이를 하나증권 등 증권사들이 인수해 개인에게 판매했다.
지난 4일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절차 개시 이후 원리금 상환이 중단된 홈플러스의 ABSTB는 총 4019억원 규모며 이 중 상당 규모가 개인에게 판매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금감원은 지난달 28일 홈플러스의 CP과 전단채 등급을 'A3'에서 'A3-'로 강등한 한국신용평가와 한국기업평가도 검사한다.
금감원은 신용평가사의 등급 조정 및 통보 절차 등을 살펴보고 홈플러스가 신용등급 강등을 미리 알 수 있는 구조였는지를 살필 것으로 보인다.
시장에서는 홈플러스가 법정관리 직전인 지난달 25일까지도 CP를 발행했다는 점에서 신용등급 강등, 기업회생 계획 등을 알면서도 CP를 발행한 거 아니냐는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 홈플러스의 회생절차 개시 이후 CP와 전단채 신용등급은 'D'까지 떨어져 사실상 휴지 조각이 됐다.
신용등급 강등 가능성을 예상하고도 일반 투자자에게 CP를 팔아 손해를 입혔다면 도덕적 해이로 비난을 받는 건 물론법적 처벌 대상도 될 수 있다.
한편 홈플러스의 대주주 MBK파트너스는 신용등급 강등 가능성을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는 입장이다. 또 예상 밖의 상황에 4일 새벽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했다고 밝혀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