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자연산 민물고기 날로 먹지 마세요…"심하면 담관암 유발"

등록 2025.03.17 09:32:3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질병청 '2025년 장내기생충 감염 실태조사' 실시

3~10월 39개 시군 주민 2.4만명 대상…12월 발표

[세종=뉴시스] 장내기생충 감염 실태 조사에 따른 유행지역 감염률 변화 추이(사진=질병관리청)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 장내기생충 감염 실태 조사에 따른 유행지역 감염률 변화 추이(사진=질병관리청)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 박영주 기자 = 질병관리청은 장내기생충 감염병 관리를 위해 5대강 주변 유행 지역 38개 시·군 주민 2만4000명을 대상으로 간흡충 등 장내기생충염 감염 실태를 조사한다고 17일 밝혔다.

수계 인접 민물고기 생식 문화가 있는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등 지역을 중심으로 간흡충, 장흡충, 회충, 편충, 폐흡충 등 11종 감염 실태를 조사한다.

국내 장내기생춤 감염병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간흡충은 식품 매개 기생충 감염으로 유행 지역 하천의 자연산 민물고기를 생식해 감염된다. 간흡충은 만성적 담도질환을 일으킬 수 있고 심한 경우 담관암을 유발할 수 있는 생물학적 발암 원인체로 알려져 있다.

간흡충이 많이 감염된 민물고기 1위는 돌고기이며 이어 긴몰개, 몰개, 참붕어, 중고기, 모래무지, 칼납자루, 피라미, 납지리, 납자루 등 순이었다.

질병청은 2005년부터 간흡충 유행 지역을 중심으로 장내기생충 감염 실태 조사와 치료 지원 사업을 수행해 오고 있다. 2004년 조사 결과 간흡충 감염률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일부 유행 반발 지역을 중심으로 여전히 5% 이상의 높은 감염률을 보이고 있다.

유행 지역 장기기생충 감염 실태조사는 매년 3월부터 10월까지 검체 수거 및 진단검사가 진행되며 12월 사업 평가대회에서 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감염이 확인된 양성자에게는 간흡충 양성자관리시스템을 통한 투약 및 재검사 등 감염자 관리 서비스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에서는 장내기생충 감염병 퇴치를 가속하기 위해 지난해 조사에서 간흡충 감염률 9% 이상이 확인된 지역을 대상으로 전수조사 및 예방 교육이 이뤄진다. 아울러 지역 하천의 자연산 민물고기 감염률 등 위험 요인 분석을 추진해 예방 관리 근거를 제공할 계획이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국내 장내기생충 감염률이 과거에 비해 감소했지만 여전히 일부 지역에서는 높은 감염률을 보이는 만큼 자연산 민물고기는 반드시 익혀 먹는 것이 중요하다"며 "감염이 의심되면 각 지역 보건소에서 적극적으로 검사를 받아 달라"고 당부했다.
[세종=뉴시스] 간흡충 감염 위험 자연산 민물고기(사진=질병청)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 간흡충 감염 위험 자연산 민물고기(사진=질병청) *재판매 및 DB 금지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