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의회 "분산특구 지정으로 첨단산업 유치 기폭제 돼야"
이종환 의원, 부산시에 부산특구 지정 총력 당부
![[부산=뉴시스] 부산시의회. (사진=뉴시스 DB) 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4/03/NISI20250403_0001808782_web.jpg?rnd=20250403132819)
[부산=뉴시스] 부산시의회. (사진=뉴시스 DB) [email protected]
15일 부산시의회 국민의힘 이종환(강서구1) 의원에 따르면 이날 부산시는 '부산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사업계획서'를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했다.
이 의원은 "당초 부산시는 공급 유치형 1개 유형만을 신청할 계획이었으나 신산업 활성화형까지 추가해 산자부에 사업계획서를 제출했다"며 "부산시가 유형별 중복 신청이 가능하다는 산자부 방침을 활용해 지정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게 됐다"고 평가했다.
부산시가 신청한 분산특구 대상 지역 총면적은 52㎢(1579만평)로 에코델타시티 12㎢(356만평), 명지지구 택지개발지 일대 15㎢(473만평), 산업단지 일원 25㎢(749만평)다.
이 의원은 "부산시의 전력수요 분석 결과, 분산특구의 전력 소비량은 2023년 3922GWh에서 2030년 1만4330GWh로 7년 만에 3.65배나 전력 소비량이 커지게 된다"며 "전력 소비량 증가 추이를 볼 때 분산특구 지정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분산특구로 지정이 되면, 데이터센터 설립 증가 등으로 인한 전력수요에 대응하는 안정적인 분산에너지 확보는 물론, 에너지신산업, 데이터산업 등 첨단산업의 부산 유치에 기폭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분산특구 지정으로 부산시에도 경제적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유발효과는 4조7497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1조7118억원, 고용유발효과는 1만1000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이 의원은 "이번 분산특구 공모에는 부산뿐만 아니라 울산, 인천, 경기 등 11개 광역 지자체가 신청할 것으로 알려질 만큼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며 "그런 만큼 부산시는 더더욱 사활을 걸고 분산특구 지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 의원은 부산시의회 차원에서도 앞으로 남은 절차에 대해 부산시 분산특구의 추진방향과 로드맵이 정확히 전달돼 설득력을 가질 수 있게끔 지원하겠다는 의견을 밝혔다.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은 전력에너지 사업자가 한국전력을 거치지 않고 분산특구 내 입주기업에 직접 공급하는 곳이다. 전력 단가를 낮춰 이를 입주기업의 경쟁력 향상으로 이어지도록 하겠다는 목표로 산업통상자원부가 올해 처음으로 지정하는 특구다. 공급 유치형, 수요 유치형, 신산업 활성화형 등 3개의 유형이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