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승용차 이어 상용차 관세 수순…중대형 트럭 조사
트럭 수요·공급부터 외국 정부 보조금 지급 등까지 폭넓게 조사할 듯
![[워싱턴=AP/뉴시스]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각) 자신이 서명한 행정명령문을 윌 샤프 백악관 비서에게 넘겨주고 있다. 2025.4.24.](https://img1.newsis.com/2025/04/24/NISI20250424_0000281089_web.jpg?rnd=20250424085342)
[워싱턴=AP/뉴시스]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각) 자신이 서명한 행정명령문을 윌 샤프 백악관 비서에게 넘겨주고 있다. 2025.4.24.
미국 상무부 산하 산업안보국은 23일(현지 시간) 연방관보 홈페이지에 트럭 수입 관련 국가안보 영향 조사를 개시한다는 내용의 관보를 게시했다.
조사 개시일은 지난 22일로, 무게 1만~2만6001lb(약 4535~1만1793㎏) 중형 트럭 및 2만6001lb 이상 대형 트럭, 중·대형 트럭용 부품, 기타 파생 생산품 등이 대상이다.
상품 운송에 사용되는 자동차 전반이 '트럭'으로 묶여 이번 조사 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트럭용 부품에는 엔진과 엔진 부품, 트랜스미션, 파워트레인 부품 및 기타 전자부품 등이 포함된다.
이번 조사 근거는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부터 고율관세 부과 명분으로 사용됐던 무역확장법 232조다.
해당 조항은 상무부와 관련 부처, 기관이 국가안보에 영향을 미치는 수입품에 관해 조사할 수 있도록 규정한다.
상무부는 조사 개시와 함께 관련 단체를 상대로 의견수렴도 진행한다.
상무부는 ▲미국 내 트럭 및 트럭 부품 수요 현황과 향후 전망 ▲트럭 및 관련 부품 국내 생산 규모 및 이를 통한 수요 충족 여부 ▲외국 공급망 현황 및 이를 통한 미국 내 수요 충족 여부 등에 관해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아울러 ▲외국 정부의 보조금 지급으로 인한 미국 트럭 산업계 영향 ▲외국의 수출통제 및 공급망 무기화 가능성 ▲수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미국 내 생산역량 증대 가능 여부 등에 관해서도 의견을 수렴한다는 방침이다.
상무부의 이번 조사는 사실상 향후 상용차 상대 관세 부과를 위한 포석으로 받아들여진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이달 초 수입 자동차를 상대로 25% 관세를 매겼고, 내달부터는 자동차 부품에도 관세 발효가 예정돼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