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드론 산업 얼라이언스 출범…"미래세대 기술·상상력 더할 것"

등록 2025.05.14 17:01:4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국토부 등 347개 기관 가입…창립총회 열어

농업·소방·건설·물류·항공 5대 드론 국산화

박상우 장관 "1인1드론으로 드론산업 발전"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이 14일 서울 강서구 코엑스마곡에서 열린 '드론산업 얼라이언스 창립총회'에서 드론 생중계 기술을 이용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5.05.14. kgb@newsis.com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이 14일 서울 강서구 코엑스마곡에서 열린 '드론산업 얼라이언스 창립총회'에서 드론 생중계 기술을 이용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5.05.14.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정진형 기자 = "직접 도전해보니 생각보다 훨씬 재밌고 왜 드론이 미래 산업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는지 느낄 수 있었습니다."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이 14일 서울 강서구 마곡동 코엑스마곡 야외 광장에서 드론 조종을 체험한 뒤 밝힌 소회의 한 대목이다.

국토교통부는 이날 오후 마곡 코엑스에서 드론 산업 얼라이언스(Drone Industry Alliance·DIA) 창립 총회를 개최했다.

DIA에는 정부 10개 기관, 기업 263곳, 지자체 23곳, 공공기관 22곳, 학회 등 10곳, 대학교 16곳, 개인회원 95명 등 총 347개 기관이 가입했다.

DIA는 항공안전기술원과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이 공동으로 운영한다. 산하에는 ▲핵심기술 자립 ▲상용화 촉진 ▲규제개선 ▲국제협력 ▲인프라 구축 등 5개 분과를 두고 산·학·연·관이 드론 연구 개발과 실증, 사업화를 통해 국산화 추진을 협력할 계획이다.

이날 창립총회에선 정부의 '드론 완성체 5대 프로젝트'도 공개됐다.

국토부는 ▲농업 ▲소방 ▲건설·시설 관리 ▲물류 ▲항공 등 5개 분야별 드론을 국산 기술로 개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드론의 외산 의존도가 높은 현실을 극복하고, 기술 자립도를 높여 글로벌 시장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하기 위해 5대 주요 임무 드론의 기술 개발부터 실증·수출까지 정부가 지원할 방침이다.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이 14일 서울 강서구 코엑스마곡에서 열린 '드론산업 얼라이언스 창립총회'에서 국산 드론을 살펴보고 있다. 2025.05.14. kgb@newsis.com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이 14일 서울 강서구 코엑스마곡에서 열린 '드론산업 얼라이언스 창립총회'에서 국산 드론을 살펴보고 있다. 2025.05.14. [email protected]



드론 정책방향을 발표한 김기훈 국토부 첨단항공과장은 "완성체가 아닌 부품 개발도 추진할 계획"이라며 "올해 내 연구용역을 거쳐 10대 후보 기술을 발굴하려 한다"고 부연했다.

이와 함께 드론 원스톱 생산형 공유공장인 '스마트 드론 팩토리'와 드론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을 육성할 '드론 기업지원센터', 전 생애주기형 드론 코딩·조종 교육을 통한 '차세대 드론 인력 양성'도 추진한다.

국토부 발표 이후에는 2011년 국내 최초로 KBS '1박2일'에서 드론을 활용한 촬영을 한 시네드론의 이현수 감독의 강연과 드론 산업 관련 15개 사업자의 1분 스피치가 이어졌다.

창립 총회에 앞서 박 장관은 마곡 광장에서 학생들과 드론 조종을 체험하고 현장에서 창립총회 인사말도 했다. 처음에는 드론 조종을 어려워하던 박 장관도 금방 적응해 '드론 삼매경'에 빠졌다. 현장 체험과 박 장관의 인사말은 드론 촬영을 통해 실내 총회장으로 생중계됐다.

박 장관은 "직접 도전해보니 생각보다 훨씬 재밌고 왜 드론이 미래 산업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는지 느낄 수 있었다"며 "드론에 관심과 열정이 있는 미래세대가 기술을 배우고 상상력을 더한다면 드론 산업의 미래가 밝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총회 개회사를 통해서도 "우리 생활 곳곳에 드론을 잘 활용해 1인1드론 시대를 여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며 "이 드론 시대를 대한민국에서 만들어나가면 우리나라 드론산업이 더욱 발전하고, 이를 토대로 전세계에 진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