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마약은 안 들킨다고? 천만에요"…오송에 모인 '그들'[식약처가 지킨다]
지난해 8월 식약처 필두로 검찰·경찰·국정원 등 신종마약 대응 모색
'하수역학 기반으로 마약류 실태조사' 결과 공유하고 진행방안 논의
![[서울=뉴시스] 오유경 처장이 지난해 8일 8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 식품, 의약품, 의료기기, 마약류,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협력사업을 강화하는 양해각서를 체결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식약처 제공) 2025.05.22.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5/22/NISI20250522_0001849843_web.jpg?rnd=20250522192855)
[서울=뉴시스] 오유경 처장이 지난해 8일 8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 식품, 의약품, 의료기기, 마약류,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협력사업을 강화하는 양해각서를 체결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식약처 제공) 2025.05.22.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송종호 기자 = 낮 최고 기온이 35도를 기록할 만큼 한여름의 열기가 지속된 지난해 8월 13일. 충북 청주시 오송읍의 세종시티 오송호텔에는 묘한 긴장감이 감돌았다. 단순한 학술회의나 공청회 이상의 무게가 느껴지는 자리였다. 정부의 불법 마약류 대응기관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인 것이다.
호텔 행사장은 식품의약품안전처를 필두로 대검찰청, 경찰청, 해양경찰청, 국가정보원,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국내 마약 대응 기관들의 관계자들로 가득 찼다. 또한 전국 17개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은 물론 부산대를 포함한 5개 대학 연구자와 전문가들도 온·오프라인으로 참석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하수역학을 기반으로 한 마약류 실태조사' 결과를 공유했다. 이들은 단순 의견 교환이 아닌 실제 하수에서 검출되는 주요 불법 마약류 성분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대응 전략을 세우기 위해 모인 것이다.
이같은 신종마약에 대응하기 위한 과학기반 강화 노력은 2020년 본격화 됐다. 식약처는 2020년 '하수역학 기반 신종·불법 마약류 사용행태 조사' 시범사업의 주요 분석 결과를 이듬해인 2021년 공개했다.
하수역학 기반 조사 기법이 폐기된 마약류의 하수 유입 가능성, 강우량 등 일부 한계는 존재한다. 하지만 조사 결과 국내 수사기관에 실제로 적발된 불법 마약류가 검출되는 등 사용실태 조사에 통계·과학적 기법으로서 의의를 지닌다. 이에 식약처는 지역·기간을 확대해 해당 조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서울=뉴시스]](https://img1.newsis.com/2025/04/28/NISI20250428_0001829878_web.jpg?rnd=20250428155918)
[서울=뉴시스]
2021년에는 조사 기법을 추가했다. 식약처는 "(2020년) 1차 조사 시 전국 57개 대규모 하수처리장을 연 4회 조사하는 '정기조사'만 실시했으나 2021년에는 전국 27개 대규모 하수처리장을 연 4회 '정기조사'하고 지역적 특성을 반영해 산업·항만·휴양 지역 13개 하수처리장을 일주일 이상 조사하는 ‘집중조사’를 도입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2023년에는 매년 실시하고 있는 '하수역학 기반 불법 마약류 사용행태'에 대한 지난 3년간(2020년~2022년) 조사한 결과를 비교·분석해 발표했다. 또한 하수처리장은 2022년 기준 전국 17개 시·도별 최소 1개소 이상, 전체 인구의 50% 이상을 포괄할 수 있도록 선정해 하수를 채집하며 과학적 기반을 유지했다.
지난해 5월 식약처는 '하수역학 기반 불법마약류 사용행태'에 대한 2023년도 조사 결과를 정리해 발표했다. 특히, 식약처는 조사 결과 발표와 함께 그간 실시해 오던 특정물질 위주의 분석과 대사체를 포함한 다빈도 검출 물질 분석을 병행해 필요시 임시마약류나 마약류로 지정하고 신종마약류를 탐지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조사를 확대하기로 했다.
또한 식약처는 "관심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시·도보건환경연구원과 협업해 하수역학 기반 마약류 실태조사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방안도 모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