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 업계 "2030년까지 온실가스 53% 감축…R&D·제도 개선 필수"
'2025 셈텍 아시아'에서 기조 발표

한국시멘트협회 김의철 이사(기술개발실장). (사진=한국시멘트협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홍세희 기자 = 시멘트 업계가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53% 감축하겠다고 밝혔다.
국내 주요 시멘트업체를 회원으로 하는 한국시멘트협회는 10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Cemtech Asia 2025(셈텍 아시아)'에서 이같은 내용의 '2050년 국내 시멘트 산업의 탄소중립 달성 전략 계획'을 발표했다.
글로벌 시멘트산업 전문기관인 셈넷(Cemnet) 주최하고 시멘트협회가 후원하는 셈텍 아시아는 지난 9일부터 12일까지 열릴 예정이다.
이날 기조발표에 나선 한국시멘트협회 김의철 기술개발실장(이사)은 "국내 시멘트 업계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지속적인 감축 노력과 투자, 생산량 감소의 영향으로 2016년을 정점으로 감소해왔다"고 분석했다.
이어 "한국 시멘트 산업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노력은 3가지 축을 바탕으로 한다"며 ▲공동선언을 바탕으로 한 탄소중립·ESG경영 ▲ 지속적인 탄소중립을 위한 설비 투자 ▲ 저탄소 제품 생산을 위한 연구개발(R&D) 등을 제시했다.
김 이사는 특히 "R&D는 가장 중요한 축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현재 정부 지원으로 철강, 석유화학, 반도체 산업과 함께 연료전환과 원료전환 기술 고도화를 위한 탄소중립 핵심 기술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협회가 이날 발표한 '2050년 국내 시멘트 산업의 탄소중립 달성 전략 계획'에 따르면 시멘트 업계는 원료 전환에서 클링커제조 시 석회석을 저탄소 원료(비탄산염원료)로 대체하는 기술을 개발해 2030년 기준 석회석 대체율을 2% 이상 높이기로 했다.
또 시멘트 혼합재 함량을 증대하기 위해 기존 3종의 혼합재 외에도 새로운 혼합재(석회석 미분말·소성점토 등)를 사용하는 혼합시멘트 제조 기술도 개발 중이다.
연료 전환에서는 2030년까지 순환자원(폐기물) 대체율 80% 이상을 달성하기 위해 기술 개발에 나서기로 했다. 유연탄 등 화성연료를 폐기물과 무탄소 연료(바이오매스·수소 등)로 대체할 수 있도록 전처리와 오염물질 제거 등의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김 이사는 "기술개발에 이은 실증 및 상용화를 위해서 적극적 R&D 추진과 시멘트 KS·개정이 필수"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시멘트 업계는 자체 기술개발과 함께 지속적인 설비 투자를 통해 시장이 요구하는 제품 제조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여기에 정부의 R&D 지원과 제도 개선이 이뤄진다면 시멘트 산업의 탄소중립 달성에 있어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