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P 스왑 지연에 코인원 "재단 법적 조치도 검토"
"스왑 실현 위해 노력했지만 재단 비협조로 문제 지속"

엔에프 프롬프트. (사진=엔에프 프롬프트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주동일 기자 =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원이 자사에 상장된 가상자산 엔에프 프롬프트(NFP)의 스왑 지연 사태를 두고 재단에 대한 법적 조치에 나설 수도 있다는 입장을 내놨다.
24일 코인원은 입장문을 통해 "NFP 재단이 비협조적 태도를 지속할 경우, NFP 재단에 대한 법적 조치를 포함한 모든 대응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고객들의 자산 보호를 위해 ▲NFP 재단과 소통 지속 ▲추가적인 법적, 기술적 해결 방안 모색 ▲관련 진행 상황의 투명한 공개 등의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덧붙였다.
NFP는 2023년 12월 27일 코인원에 상장된 가상자산이다. 코인원에 따르면 NFP재단은 지난해 3월 15일 해킹 발생을 이유로 코인원 측에 입출금 중단을 요청했다.
이에 코인원은 소비자 보호를 위해 진위 파악을 하고자 두 차례에 걸쳐 소명을 요청했다. 코인원 측은 "당시 시행을 앞두고 있던 국내 법적 규제 상황을 고려할 때 필요한 절차였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소명 자료가 제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재단은 토큰 스왑 지원만을 요청해왔고, 고객 자산의 가치 보전을 우선 고려해 컨트랙트 전환에 따른 스왑 지원을 위한 입출금 중단을 결정했다는 게 코인원 측의 설명이다.
문제는 재단이 전체 토큰이 아닌 일부 물량에 대해서만 스왑을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다. 코인원이 기존에 요구했던 '전체 고객 보호' 원칙과 상충하는 것이다.
또 재단은 스왑 협의 과정에서 국내 개인정보보호법에 저촉될 수 있는 정보 제공을 코인원 측에 요구했다.
구체적으로 재단은 ▲기존 NFP가 포함된 모든 주소 ▲입출금 중단 시점 ▲중단 후 강제 입금된 사례 ▲문제시되는 NFP 토큰 및 계정의 모든 거래 및 출금 내역 등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진다.
이에 코인원은 한국 법인으로서 해당 요청에 응할 수 없다고 여러 차례 안내했다는 입장이다. 이 과정에서 토큰 스왑이 늦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코인원은 지난해 6월 관할 수사기관에 수사를 의뢰했다. 해당 수사는 현재 진행 중이다.
끝으로 코인원은 "지난 1년 3개월간 약 50차례의 메일 발송, 법무법인을 통한 공식 서한, 다각적 채널을 통한 소통 시도 등 NFP 토큰 스왑 실현을 위해 가능한 모든 노력을 기울여 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NFP 재단의 비협조로 인해 문제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