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유엔차석 "韓美 방위협력 방어적…北 황당주장 멈춰라"(종합)
"한미 방위 협력, 세계 비확산 체제 부합…北 경우와 달라"
北 "한미 행동 기만적…日, 오염수 깨끗하면 자국 농업에 써라"
![[서울=뉴시스] 김상진 한국 유엔대표부 차석대사가 26일(현지시간)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78차 유엔총회 일반토의 개별 발언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유엔 웹TV 캡처) 2023.09.27. *재판매 및 DB 금지](http://image.newsis.com/2023/09/27/NISI20230927_0001375431_web.jpg?rnd=20230927084959)
[서울=뉴시스] 김상진 한국 유엔대표부 차석대사가 26일(현지시간)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78차 유엔총회 일반토의 개별 발언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유엔 웹TV 캡처) 2023.09.27. *재판매 및 DB 금지
김상진 한국 유엔대표부 차석대사는 26일(현지시간)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78차 유엔총회 일반토의 개별 발언에서 "북한의 반복적인 근거 없고 비논리적이며 황당무계한 주장을 들어야 한다는 게 매우 유감"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북한의 김성 유엔대사는 이날 일반토의 연설에서 한반도에서 핵전쟁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며 그 원인이 미국의 패권 야욕 실현 추구와 현재 한국 정부의 친미굴종에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김 차석은 그러나 "완전히 민주주의화되고, 경제적으로 번영했으며, 법치주의를 따르는 한국이 유엔 헌장의 원칙과 정신을 약화하는 국가라는 데 동의하는가"라고 총회 참석국에 물었다.
이어 "북한이 주장하는 것처럼, 한국이 미국과 함께 한반도에서 한국 국민에 재앙적인 수준의 사상자를 낼 핵전쟁을 도발하기 위해 공모한다고 정말로 믿는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차석은 "이 회의장에 있는 회원국 중 얼마나 많은 국가가 진지하게 북한의 거짓 주장에 동의하겠나"라며 북한의 주장을 "사실이 아니며 명백하게 부정확하다"라고 단언했다.
아울러 "책임 있는 정부로서 강력한 한미 연합 방위와 대비 태세를 유지함으로써 북한의 군사 위협으로부터 우리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은 우리의 의무"라고 역설했다.
그는 "연합연습·훈련 등 한미 연합 방위와 대비 태세는 북한의 군사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며 "이런 연습 및 훈련은 오랫동안 지속된 것이자 방어적인 성격"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미국과 우리의 방위 협력은 북한과는 달리 세계 비확산 체제와 핵확산금지조약(NPT)에 완전하게 부합한다"라며 "북한은 21세기에 핵실험을 하는 세계 유일의 국가"라고 했다.
김 차석은 "북한은 올해 다수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와 소위 말하는 위성 발사, 공개적인 선제 핵공격 위협 등 전례 없는 수준의 도발로 계속 긴장을 고조했다"라고 비판했다.
그는 또 "북한의 인권 문제는 본질적으로 국제 평화·안보와 연결돼 있다"라며 "북한이 군사력 확장에 주력하는 대신 그들 주민의 복지와 인권 상황을 우선시하기를 촉구한다"라고 일갈했다.
이날 김 차석이 발언을 마치자 북한에서도 김인철 북한대표부 서기관이 나서서 추가 발언을 내놨다. 그는 한국 측 주장이 "언어도단적"이라며 "터무니없고 도발적이기까지 한 발언을 거부한다"라고 했다.

김인철 유엔 북한대표부 서기관이 26일(현지시간) 제78차 유엔총회 일반토의에서 발언하는 모습. (사진=유엔 웹TV 캡처) 2023.09.27. *재판매 및 DB 금지
이어 지난 4월 한미 정상 간 워싱턴 선언과 핵협의그룹(NCG) 발족, 미국 핵잠 부산 기항 등을 언급하며 "이같은 군사 도발은 북한과 다른 모든 동아시아 국가에 직접적인 위협"이라고 했다.
김 서기관은 "모든 가능한 전쟁 자원을 수반한 막대한 군사훈련이 연례적이고 방어적 차원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순전히 기만적"이라며 "지구상 어떤 국가가 이를 방어적이라고 믿겠는가"라고 했다.
그는 이와 함께 한미 활동에 북한도 손 놓고 있을 수 없다며 "북한의 군사 정찰위성 발사는 미국의 군사 위협에 상응하는 조치"라며 "자주권 보호와 영토 보전을 위한 정당한 자위권 발동"이라고 주장했다.
김 서기관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보는 미국의 정치적 장치를 통해 고안된 어떤 결의안으로도 보장할 수 없으며, 강력한 자기방어 역량으로만 보장할 수 있다"라고 북한의 무기 개발을 정당화했다.
이어 "국제사회는 한반도의 상황을 세밀히 들여다보고 미국의 불안정 초래 행동을 거부해야 한다"라며 "우리는 미국과 한국 군사 훌리건들의 도발적 수사와 노골적 군사 행동을 면밀히 지켜보고 있다"라고 했다.
그는 또 "미국과 한국의 전쟁광들은 그들이 계속 도발을 이어갈 경우 자신들이 주장하는 '안보 동맹'이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약화하는 '불안 동맹'이 되리라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할 것"이라고도 했다.
김 서기관은 "개가 짖어도 마차는 달리고, 북한은 유엔 헌장과 국제법에 따른 자위권을 행사할 자격이 있다"라며 "미국이 그들 그른 선택을 인정할 때까지 단호하게 국가 안보 위협에 대응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김 서기관은 이날 발언 마지막에는 일본의 오염수(일본명 처리수) 방류에 대한 비판도 내놨다 .그는 "일본의 핵오염수 방류는 핵재앙을 부르는 인류에 대한 범죄"라고 했다.
김 서기관은 일본의 방류를 '비도덕적 행동'으로 규정하고, "만약 그게 핵 처리수(nuclear treated water)가 맞다면, 일본은 왜 그것을 산업용이나 농업용으로 쓰지 않는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imzero@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