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사라져가는 우리 시대의 마지막 장인…대장간 이야기

등록 2024.03.24 17:35:30수정 2024.03.24 19:55:2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 대장간 이야기 (사진=교유서가 제공) 2024.03.2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대장간 이야기 (사진=교유서가 제공) 2024.03.24.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이수지 기자 = 한때 을지로 7가는 대표 대장간 거리였다. 녹번동,수색, 구파발 등지에도 대장간이 많았다. 그랬던 대장간들이 1970∼80년대 급격한 산업구조 개편과 도시개발을 거치면서 사양길로 접어들었다.

이제는 대장간이 모여 있는 곳을 좀처럼 찾아보기 어렵다. 대장간 셋이 붙어 있는  인천 도원동이 국내에 마지막 남은 대장간 거리라 할 수 있다.

도원역 부근에 있는 인일철공소, 인천철공소, 인해대장간 중 맏형 격은 1938년생 최고령 대장장이 송종화 장인이 운영하는 인일철공소다.

책 '대장간 이야기'(교유서가)는 사라져가는 우리 시대의 마지막 장인 대장장이와 대장간의 모든 것을 담았다.

저자는 대장간 현장과 거기서 일하는 대장장이들, 대장간에서 만들어낸 연장들을 사용하는 우리 삶의 현장을 누빈다.

역사 속 대장장이들이 어떻게 그려졌는지, 대장간이나 대장장이는 우리 문화에서 어떤 모습으로 남아 있는지도 살핀다.

저자는 또 대장간이 우리말의 아주 오랜 곳간임에 틀림없다고 말한다.

이 책에는 이순신 장군이 임진왜란 때 참전한 명나라군에 건넨 선물 중 휴대용 불붙이는 도구 부시가 있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당시 이순신 장군이 부시를 일컬어 적었던 화금(火金)은 불을 일으키는 쇠라는 말이다. 부싯돌을 쳐서 불을 일으키는 쇳조각이 부시인데, 그 어원을 따져보면 불과 쇠가 합쳐져 이뤄진 말이다.

대장간 하면서 빼놓을 수 없는 게 성냥이다. 충청도 등 일부 지역에서는 대장간을 승냥깐이라 한다. 이 승냥이라는 말이 성냥에서 나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